기자 이미지
김영준 기자

누구보다 빨리 국내 과학기술 성과를 전합니다.

기자에게 메일 보내기
  • 기사 썸네일
    KAIST, 대만 3대 기업 '포모사 그룹'과 바이오·의료 협력…180억 투자 유치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이 대만 3대 기업 '포모사 그룹'과 바이오·의료 분야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포모사 그룹 내 바이오 및 친환경에너지 분야를 이끄는 샌디 왕 회장은 KAIST 내 바이오 의료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5년 간 약 180억

    2025-02-17 11:22
  • [인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슈퍼컴퓨팅본부장 박찬열 △국가과학기술데이터본부장 이민호 △데이터분석연구본부장 고병열 △네트워크미래기술연구본부장 송중석 △정책전략본부장 최장원 △기획본부장 이정원 △행정본부장 김민기 △감사부장 정겸웅 △초고성능컴퓨팅정책센터장 서민

    2025-02-17 11:01
  • 기사 썸네일
    KISTI, AI·HPC 연구 혁신 가속 목표로 조직개편 단행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원장 이식)은 17일부로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이에 따른 인사 발령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과 고성능컴퓨팅(HPC) 기반으로 연구개발(R&D) 혁신을 선도하는 기관'이라는 경영혁신 비전을 반영하고, 급변하는 기술 수요 등

    2025-02-17 10:57
  • 기사 썸네일
    KAIST, 코로나바이러스 '빠른 유전자 복제' 기전 밝혀…새로운 백신·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코로나19의 급격한 복제, 빠른 전염 기전이 아직 규명되지 않은 가운데,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 연구진이 코로나바이러스 핵심 효소 단백질(헬리케이스) 복제과정의 급격한 촉진 및 전염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관련 백신·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2025-02-17 10:34
  • 기사 썸네일
    에트리홀딩스, 19일 혁신투자포럼 개최…ETRI 혁신 R&BD 기술 소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기술지주회사인 에트리홀딩스가 오는 19일 연구원 내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에서 '2025년 혁신투자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ETRI와 에트리홀딩스가 주최하고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가 공동주최한다. 이날 행사에는 윤상경

    2025-02-17 10:07
  • 기사 썸네일
    KBSI, '고에너지 리튬 이온 금속 하이브리드 음극' 열화 현상 개선 기반 마련

    리튬이온전지 단점을 극복할 신소재 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기존 흑연 음극의 저에너지 밀도 개선을 위한 고에너지 리튬 이온 금속 하이브리드 이차전지 소재 기술이 국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원장 양성광)은 김해진 소재분석연구부 박사팀이 이같은 성과를 거

    2025-02-17 09:49
  • 기사 썸네일
    비귀금속 촉매로 성능↑…'81.9%' 암모니아 분해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영국) 연구진이 비귀금속인 '코발트-철(CoFe)' 기반 암모니아 분해 촉매 기술을 개발했다. 낮은 온도에서도 암모니아 분해 효율을 높여 친환경 수소 생산을 앞당길 전망이다. 화학연은 이수언·채호정 박사팀이 CoFe 기반 층상 이중산화물(LDO)에

    2025-02-16 12:00
  • 기사 썸네일
    파스퇴르연·전북대병원, '레드 바이오' 산업 공동 육성 나선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소장 장승기)가 전북대병원(병원장 양종철)과 레드 바이오 산업 분야 공동연구를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14일 밝혔다. 전북대병원 본관 3층 온고을홀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은 장승기 한국파스퇴르연구소장, 최영실 바이오뱅크 실장과 양종철 병원장,

    2025-02-14 17:34
  • 기사 썸네일
    KAIST, 2025년도 학위수여식 개최…3144명 학위 수여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이 14일 오후 2시 대전 본원 류근철스포츠컴플렉스에서 2025년도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 785명, 석사 1643명, 학사 716명 등 총 3144명이 학위를 받았다. KAIST는 지난 1971년 설립

    2025-02-14 17:15
  • 기사 썸네일
    ETRI, 산·학·연·관과 초실감 공간결합 기술 논의… '다봄 프로젝트'도 제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4일 서울 엘타워 루비홀에서 초실감 공간결합기술 미래 가능성과 투자 타당성을 논의하는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공간결합기술은 실제와 디지털 가상 공간을 연결하고, 인간·기계 간 상호작용으로 확장된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정보통신기획평가

    2025-02-14 16:00
  • 기사 썸네일
    KAIST, 이중근 부영 회장에 명예경영학 박사학위 수여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이 14일 2025년도 학위수여식에서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에게 명예경영학 박사 학위를 수여한다. KAIST는 장학금과 교육시설 지원을 비롯해 국내외 교육.문화.보훈.해외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한 공로를 인정해

    2025-02-14 10:31
  • 기사 썸네일
    STEPI, 글로벌 AI 샌드박스 논의 장에서 '한국 규제샌드박스' 정책 및 향후 과제 공유

    인공지능(AI)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된 글로벌 장에서, 한국 규제샌드박스 정책과 향후 과제가 공유됐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원장 윤지웅)은 국제상공회의소(ICC)와 데이터스피어 이니셔티브 공동

    2025-02-13 20:19
  • 기사 썸네일
    출연연 교류·협력 문화 조성 행사 '연구이음마당' 성료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이사장 김영식)는 12일 기계연·표준연·KISTI 공동주관으로 '제 1회 연구이음마당'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출연연 구성원 간 정기적인 교류를 통해 협력 기반의 연구 혁신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분기별 1회, 2·5·8·11월 둘째

    2025-02-13 20:00
  • 기사 썸네일
    IBS 등,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신경회로 재구성과 뇌 기능 회복 유도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노도영) 등 연구진이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해 별 모양 비신경세포인 '별세포'의 칼슘 신호를 조절함으로써 만성 뇌졸중 후 운동 기능 회복을 촉진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창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장 연구팀이 김형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의생

    2025-02-13 11:52
  • 기사 썸네일
    생명연 'AI 디지털바이오 심포지엄' 개최…'웹 기반 디지털전임상 플랫폼' 첫선

    신약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감염병 백신·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할 웹 기반 '디지털전임상 플랫폼' 개발이 시작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은 12일 생명연 대전본원 대회의장에서 디지털전임상 플랫폼 추진과 관련해 '2025 인공지능(AI) 디지털바이오

    2025-02-13 1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