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차량 보안 및 전장 부품의 안전성을 강제하는 법·제도를 만든다. 자동차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을 기반으로 한 ‘커넥티드카’ 개발이 가속화하면서 차량 안전성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부상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르면 1~2년 내 법률 초안이 마련되고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자동차 판매 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현대·기아차를 중심으로 한 국내 완성차 및 부품 업체들도 이 같은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하고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최근 자국 정보기술산업협회(ITI)와 차량 전자 제어 시스템의 안전성 및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검토 작업에 돌입했다.
본지가 입수한 ITI 공식 문서에 따르면, ITI는 NHTSA의 요청으로 커넥티드카에 대한 해킹 가능성과 이를 방지하기 위한 설계 방법 등의 의견을 교환했다. NHTSA와 ITI는 또 차량 전장 부품에 영향을 끼치는 전자파 적합성(EMC)도 협의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미국이 차세대 차량의 보안 표준과 관련한 법·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사전 정지 작업으로 풀이된다. 또 ICT 업계는 물론이고 자국 완성차 및 부품 업체를 대상으로도 의견을 취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NHTSA가 차량과 스마트폰 연동,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커넥티드카의 보안 위험성을 인지하고 이의 대비책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조만간 표준을 비롯한 법률 초안이 마련되고 자국에서 판매되는 차량의 사이버 보안 및 안전성을 강제하는 수순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이 이 같은 표준을 마련하게 되면 미국에서 자동차를 판매하는 글로벌 브랜드들도 이에 부합하는 차량을 개발해 판매해야 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 유럽이 주도하는 차량 기능 안전 표준인 ISO 26262와 유사한 별도의 표준이 부상할 가능성도 있다.
미국에서 연간 130만대 수준의 차량을 판매하는 현대·기아차에 표준 장벽으로 작용할 위험성도 있다. 특히 국내 협력업체들의 전장 부품 기능 안전성 확보 수준이 낮은 현대·기아차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능 안전성 표준 마련에 소극적이었던 미국이 본격적으로 제도 정비에 나서고 있다”며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들도 스마트카와 커넥티드카의 국제 표준화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양종석기자 jsyang@etnews.com
-
양종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