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소재부품, 올해 전체산업 수출의 50% 넘어선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우리나라 전 산업 중 소재부품 수출비중 추이

올해 우리나라 소재부품 산업은 국가 전체 사업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전망이다.

소재부품의 확실한 ‘투톱’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의 호조는 올해도 기대를 높이고 있다. 다만 여전한 대 일본 무역적자 비중을 축소하고 중국 업체의 공세적 도전에 대응해야 하는 것은 과제로 꼽힌다.

우리나라는 TV와 스마트폰 등 세트 산업에 강점을 나타내 왔다. 원천 기술에 해당하는 소재와 부품 경쟁력은 낮다는 게 일반적 인식이었다. 하지만 ‘부품소재’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면서 국가 전체 수출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가 됐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2001년 41.2%였던 우리나라 전 산업 가운데 소재부품 수출비중은 꾸준히 성장해 지난 2010년에는 49.1%까지 상승했다. 최근 3년간은 46.0%, 46.3%, 47.0%로 다소 주춤했지만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수출비중은 47.8%로 다시 상승세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가 국가 핵심 캐시카우로 확고히 자리 잡고 있어 새해 우리나라 소재부품 수출 비중은 사상 처음으로 50%를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의 공통적 진단이다.

다만 극복하고 개선할 부분도 있다. 반도체에서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글로벌 시장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시장규모가 더 큰 시스템반도체에서 우리나라 업체 점유율은 5%에 불과하다. 디스플레이 업종도 세계 1위를 고수하고 있지만 대형 내수시장과 공격적 정부지원을 등에 업은 중국 업체의 도전이 거세지고 있다.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같은 대규모 장치사업 이외에 중소기업이 할 수 있는 아이템 발굴과 건강한 소재부품 생태계 확보가 중요하다. 일본에 집중된 소재 수입 의존도, 중국에 몰려있는 수출 거래선도 더욱 다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기술 주도권 유지를 위해서는 선행 연구개발(R&D)이 필요하다. 앞서 달리는 것은 뒤따라가는 것보다 더 힘든 작업이다. 적절한 타이밍의 선제적 투자도 경쟁력 유지와 선도를 위해 중요하다.

<[표1]우리나라 전 산업 중 소재부품 수출비중 추이(단위:%) / 자료:산업통상자원부>


[표1]우리나라 전 산업 중 소재부품 수출비중 추이(단위:%) / 자료:산업통상자원부

<[표2]소재부품 무역흑자 추이(단위:억달러) / 자료:산업통상자원부>


[표2]소재부품 무역흑자 추이(단위:억달러) / 자료:산업통상자원부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