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창조경제 전초기지…지역 창조 생태계 중심지 돼야

박근혜정부가 핵심 국정 과제로 추진한 전국 17곳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모두 개소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 성공 여부는 원래 취지대로 제 역할을 제대로 하는지에 달려 있다. 센터 출범은 시작에 불과하다. 그만큼 해야 할 일이 많다. 당장 창조경제혁신센터 가동 이후 기능이 안정화되고 소기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있는 반면에 실질적 결과가 무엇인지 미지수라는 평가도 적지 않다.

[이슈분석]창조경제 전초기지…지역 창조 생태계 중심지 돼야

창조경제는 우리나라 경제 패러다임을 바꾸는 작업이다. 패러다임 변화와 개선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전초기지로 정부, 지방자치단체, 대기업 등 참여 주체가 창의적 협업을 이뤄야 창조경제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지난해 9월 15일 대구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시작으로 인천 창조경제혁신센터까지 전국 17곳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출범했다. 전국을 일주한 310일간의 대장정이 일단락된 셈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조경제 생태계를 대대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거점으로 지역 수요와 대기업 전략 산업을 접목해 지역 특화산업, 창업과 벤처중소기업 성장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창조경제 출발점이다.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등 지속가능한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도 창조경제혁신센터 주요 역할 중 하나다.

◇대구에서 인천까지…센터별 특화 산업 육성

전국 17곳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주요 대기업과 주요 계열사가 지역과 연계, 일대일 맞춤형 지원 체제로 가동된다. 삼성그룹과 SK그룹이 각각 대구·경북, 대전·세종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전담 지원하고 있다. LG그룹 등 13개 대기업도 참여했다.

지난해 9월 문을 연 대구센터는 섬유와 자동차부품 등 전통산업 재도약을 중점 지원 중이다.

10월에는 대전센터가 가동을 시작, 드림벤처스타, 글로벌벤처스타 등 프로그램을 가동, 벤처기업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고 있다. 11월 개소한 전북센터는 탄소소재 분야 히든 챔피언 육성 계획 아래 10개 창업팀을 선정, 시제품 제작, 기술멘토링, 자금지원(탄소특화펀드 100억원), 브랜드 개발, 판로 등 토털 서비스 제공에 한창이다. 12월 문을 연 경북센터에서는 중소기업 스마트 팩토리 도입에 필요한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101개 과제 중 현재 18개 과제를 완료했고 83개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1월과 2월 가동을 시작한 광주 센터와 충북 센터는 각각 자동차 산업 창업·수소연료전지차, K-바이오허브와 제로에너지하우스 분야를 중점 지원 중이다. 3월에는 부산 센터와 경기 센터가 출범, 안전·관광 분야 IoT 7대 시범사업과 차세대 글로벌 게임, 핀테크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4월에는 메카트로닉스 허브를 모토로 내건 경남센터가, 5월에는 빅데이터와 태양광에 각각 초점을 맞춘 강원 센터와 충남 센터가 나란히 문을 열었다. 6월에는 전남 센터와 제주 센터, 세종센터가 K-푸드 육성, 한국판 실리콘밸리 조성, 창조마을 고도화를 목표로 가동을 시작했다. 7월에는 울산 센터가 조선해양플랜트산업 재도약 선도를 목표로 문을 열었다.

최종배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조정관은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이 완료됐다”며 “구축을 성과라고 생각하지 않고 본격적 성과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의욕을 다졌다.

◇가시적 성과도 창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창업과 중소기업 혁신지원 활동이 본격화되는 등 의미 있는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지난 17일 기준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 7년 미만 기업 250개를 보육했고, 7년 이상 중소기업 125개를 지원했다. 이들 기업에는 299억원이 투자됐으며 1년여 만에 171억원가량 매출도 올렸다.

창업보육기업 수와 멘토링·컨설팅, 시제품 제작 지원 등은 지난 1월과 비교, 6개월간 다섯 배 이상 폭증했다.

지역 중소기업 지원 성과도 구체화되고 있다. 지역 중소·중견기업 성장과 혁신을 위해 대기업과 연계, 사업모델·상품 개발, 판로확보, 글로벌 시장 진출 사례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와 대기업 연계라는 당초 취지가 적중한 것으로 대기업이 지속적 지원을 약속한 만큼 성공 사례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 1년간 68개 기업에 직접 혹은 외부 유치 등으로 투자를 지원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미래부를 비롯해 주요 부처 협업 촉진에도 일조하고 있다.

전국 모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금융, 법률, 특허 등을 한번에 상담 받을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존을 설치·운영 중이다. 공익법무관이 상주하는 법률존, 정책금융기관이 지원하는 금융존, 특허존 등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경남창조경제센터의 온라인 원스톱지원 서비스 모델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등 센터 간 협력도 물꼬를 텄다.

이석준 미래부 제1 차관은 “당장 성과도 중요하지만 지속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위기와 생태계도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어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전국 곳곳에서 성공스토리를 만들어 내고 확산하는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