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야의 종 유래, 보신각종 33번 치는 이유? ‘불교식 행사에서 유래’

제야의 종 유래
 출처:/ MBC 캡처
제야의 종 유래 출처:/ MBC 캡처

제야의 종 유래

제야의 종 유래가 눈길을 모았다.



제야의 종은 31일 자정에 서울 종로2가에서 보신각종을 33번 치는 행사를 가리킨다.

제야의 종의 유래로는 먼저 제석 또는 대회일에 중생들의 백팔번뇌를 없앤다는 의미로 각 사찰에서 108번의 타종을 하던 불교식 행사에서 유래된 것으로 제야 또는 제석은 ‘섣달 그믐날 밤(음력 12월30일경)’ 어둠을 걷어내는 것으로 묵은해를 보내고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것을 가리킨다.

특히 조선 초 태조 1396년부터 도성의 4대문과 4소문을 열고 닫기 위해 하루 두 번 종을 쳐 온데서 유래하며 당시 보신각은 오늘날의 인사동 입구에 ‘종각’이라는 명칭으로 세워져 도성의 4대문과 4소문을 열고 닫는 새벽 4시경(오경)과 밤 10시경(이경) 하루 두 차례 종을 쳐 주민의 통행금지 해제와 통행금지를 알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 바 있다.

또한 제야의 종은 해방 이후 매년 12월31일 자정을 기해 보신각종을 33번치는 ‘제야의 종’ 타종 행사는 1953년부터 시작하여 새해맞이 행사로 정착하였다.

한편 제야의 종 유래 소식에 누리꾼들은 “제야의 종 유래, 신기하네” “제야의 종 유래, 종 치는 것 직접 보고싶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