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다단계 제동]휴대폰 다단계 판매원 30만명

휴대폰 다단계 사전승낙제를 운영하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에 따르면 지난 3월말 기준 다단계 판매원 데이터베이스(DB)에 입력된 판매원은 약 30만명이다. 아직 등록을 하지 않은 사람까지 합하면 이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식적인 판매 활동을 시작하려면 판매원 교육과 사전 승낙을 받아야 하는데 그 수는 약 10만명 정도로 추정된다. 10만명이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다단계 판매활동을 하고 있다는 애기다. 나머지는 다른 판매원 권유를 받아 가입을 했을 뿐 판매원으로 활동할 생각이 없거나 보류하는 가입자다.

이동통신사 중에서는 LG유플러스 가입자가 26만명으로 가장 많다. 지난해 방통위가 휴대폰 다단계 판매 지침을 시행한 이후 증가 추세가 급감했다. SK텔레콤과 KT는 수직적 다단계가 아닌 수평적 방문 판매 위주로 사업을 하고 있다.

방문 판매는 3단계 이상으로 구성된 다단계 판매와 달리 `추천인-피추천인` 1단계를 원칙으로 하는 단순한 구조다. 대리점에 지급하는 일정 마진을 제외한 실적 수당을 유치자에 직접 지급한다.

[휴대폰 다단계 제동]휴대폰 다단계 판매원 30만명

잘 알려진 다단계 판매회사는 IFCI와 B&S솔루션 등 네 군데다. LG유플러스 관련 대리점은 이를 포함해 10군데 안팎이다. 하지만 암웨이를 비롯한 기존 다단계 업체도 일부 휴대폰을 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국내 휴대폰 다단계 관련 업체는 수를 헤아리기가 쉽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휴대폰 다단계는 2002년 정보통신부가 KTF에 시정명령을 내리고 대리점을 철수하면서 대부분 사라졌다. 일부 선불폰 위주로 명맥을 유지했다. 2014년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시행 이후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기기변경과 번호이동 간 지원금 차별이 사라지고 시장이 고착화되면서 새로운 가입자 확보 수단으로 다단계가 주목을 받은 것이다. 지난해 10월 이전 매달 다단계 판매로 가입하는 가입자는 2만~2만5000명에 달했다.

이통사 간 번호이동이 반 토막 난 상황에서 매달 2만명 이상을 다단계로 끌어 모을 수 있다는 것은 이통사에는 큰 매력이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전형적 피라미드식 불법과 단통법·방판법 위반행위가 발생하며 피해자가 늘어났다. 방통위 징계 이후 다단계 가입자는 매달 1만명 안팎으로 줄어들었다.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