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투자만큼 중요한 자산 재조정

[전문가 기고]투자만큼 중요한 자산 재조정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펀드 매입 시점? 매도 타이밍? 투자 상품 선택?

다양한 답변이 나올 수 있다. 많은 전문가가 최근 `자산구성재조정(리밸런싱)`이란 용어를 부쩍 꺼낸다.

`투자에서 뭣이 중한디(?)`라고 물어 보면 리밸런싱이라고 답을 해 주고 싶다.

투자를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접근한다고 할 때 기존의 투자 상품 리밸런싱은 최초 투자 못지않게 중요하다. 본인의 자산 구성을 상황에 따라 달리 가져가거나 비중 변화를 주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리밸런싱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 걸까.

우선 전통 의미의 리밸런싱은 자산이 투자 결과로 인해 당초 자산 배분 비율에 변화가 생겼을 때 최초의 비율 기준을 맞추기 위해 비중 조정을 하는 것을 뜻한다.

즉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투자하다 보면 시간이 지나면서 어떤 자산은 이익이 나고 어떤 자산은 손실이 난다. 전체 자산 규모 대비 비중이 바뀌게 되는데 이를 원래 계획된 비율로 유지하기 위해 재구성한다.

예를 들어 보자. 투자원금 1억원을 갖고 6:3:1 비율로 펀드, 채권, 예금에 투자한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1년이 지난 뒤 펀드, 채권, 예금 수익이 각각 10%, 3%, 2% 난다면 각 자산은 6000만원, 3000만원, 1000만원(6:3:1)에서 6600만원, 3090만원, 1020만원(6.16:2.89:0.95)으로 변동된다. 이에 따라 수익으로 인해 증가된 자산 비중을 당초 6:3:1 비율로 맞추기 위해서는 펀드 자산의 일부를 환매, 채권과 예금 자산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 경우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리밸런싱을 항상 손실이 발생한 상품을 정리하는 것으로만 이해할 필요는 없다. 때로는 수익을 시현하는 의미도 포함한다. 하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앞에서 든 예처럼 수익만 발생하는 행복한 상황보다 그 반대가 더 많다.

2007년에 1억원으로 이머징 국가에 투자하는 펀드를 가입한 사람이 있다. 현재 수익률은 마이너스 50%. 다시 50% 수익이 나서 원금이 되면 환매하겠다며 끝까지 기다리고 있는 사람을 예로 들어 보자.

이 사람에게 대안을 제시한다면 해당 상품의 과감한 손절을 통해 만회할 수 있는 다른 대체 상품을 찾는 것이 효과가 있다고 이야기해 주고 싶다.

먼저 원금이 되기 위해선 +50%가 아닌 +100% 수익이 나와야 한다. 왜냐하면 최초 1억원이 5000만원으로 된 상황에서 수익이 50% 나오면 7500만원이 되기 때문이다. 애초 원금인 1억원에 도달하려면 현재 평가액 5000만원에서 100% 수익이 나야 5000만원이 더해져서 최초 투자원금 1억원이 된다. 그래서 흔히 “-50은 +100과 같다”라고 말한다.

기회비용도 고려해야 한다. 원금 회복은 정말 중요하다. 하지만 원금 회복을 동일 상품으로 꼭 해야 하는 법은 없다. 똘똘한 다른 투자 상품으로 갈아타서 `잃어버린 과거`를 속히 되찾는 것이 더욱 현명한 판단이다.

손실 난 상품을 눈에서 치우고 피하는 것이 무거운 마음의 짐을 더는 방법이다. 해당 상품을 대체할 대안은 무엇인지 전문PB 상담을 받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다. 필요하다면 과감히 환매하는 것을 권유한다. 물론 기대 수익에 도달한 상품 역시 욕심을 버리고, 애초 정한 기대수익률에 도달했다면 과감히 갈아타는 것도 중요하다. 시현되지 않은 장부상의 수익은 숫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리밸런싱 적극화로 포트폴리오의 신선도(?)를 잘 유지하는 것, 투자에서는 꽤 중요한 요소다.

한승우 KB국민은행 강남스타PB seungwoo.han@kbf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