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4차 산업혁명이 국토교통 분야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전망을 기반으로 스마트국토 조성 등 4대 과제를 중점 추진한다. 광범위한 국토교통 서비스를 국민 체감형으로 혁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정부 전체를 아우르는 규제 개혁 로드맵과 자동차, 건설, 바이오, 정보통신기술(ICT) 등 다양한 이종 산업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유관 부처와의 공조와 정책 조정도 과제로 지적된다.
국토부는 초연결을 통해 국토 공간을 신산업·신서비스 플랫폼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신산업 관련 기술의 조기 상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과 실증 및 사업화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리빙랩 개념의 실증단지 '스마트 커넥티드 타운(가칭)'을 구축한다. 규제 샌드박스, 규제 프리존 개념을 적용해 다양한 신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든다. 또 단지 내 스마트그리드, 제로에너지 빌딩, 교통시스템, 자율주행 대중교통, 드론 택배,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 기술을 융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교통 서비스와 산업 혁신에도 4차 산업혁명을 접목한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서비스 혁신은 물론 자율주행차, 무인비행체, 물류 서비스 산업 육성에 나선다.
통행 수요 및 이동 궤적 등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해 혼잡 원인을 파악하고, 대중교통 증편과 대체도로 신설 등 지점별 개선 방안을 연내에 마련한다. 2021년까지 대도시권 혼합, 사고 등 문제 해결을 위해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실시간 교통량 조절, 최적 교통수단 제공 기술 등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자율주행차는 민간을 중심으로 개발하되 국토부는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과 테스트베드 및 인프라 구축, 데이터 공유 등 기반 조성에 주력한다. 레벨 3 수준 자율주행차 실증에 필요한 고속구간을 우선 구축하고,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등 기반 조성에 주력한다. 자율주행 데이터 공동 축적과 공유를 위한 데이터 공유센터도 내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무인비행체 활성화 기반도 조성한다. 측량3차원 지도, 건설관리, 시설점검 등 7대 유망 활용분야를 중심으로 드론을 활용한 첨단 서비스 개발과 산업 생태계 조성을 지원한다.
5년간 3000대에 달하는 공공수요를 창출하고, 공공 조달시 국내 기업 우대, 창업지원, 조종인력 전문교육기관 확대, 보험상품 개발 지원 등도 추진 과제다.
물류서비스 산업은 가상(VR)·증강현실(AR) 및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과 융합해 피킹, 운송, 보관, 재고 관리 등 일련의 과정이 자동화된 물류센터를 개발한다.
국토부는 공공 인프라 안전 및 효율 제고에도 나선다. ICT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 플랫폼 도입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안전하고 효율 높은 건설환경을 구현한다. 사회간접자본(SOC) 유지관리에도 IoT를 접목한다. 현재 사후적이고 인력을 활용한 점검, 유지보수 시스템에서 빅데이터 분석과 AI를 활용한 선제적 유지관리를 추진한다.
데이터 관리체계 표준화, 스마트 미러링, 누수감지 등 실시간 수량 및 수질 관리로 수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국토부는 민간의 창의적 도전을 위한 여건과 환경을 조성하는데도 주력한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연구개발(R&D) 투자를 지속 확대한다. 올해 25개 과제, 총 연구비를 5000억원 수준에서 2026년까지 총 연구비 1조1000억원 수준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 국토교통 연구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해 중장기 투자 로드맵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토교통 공공 데이터 개방과 활용 지원, 규제 혁신, 인력 양성도 지속 추진한다.
국토부는 4차 산업혁명 발전포럼 등 다양한 민관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수요 지향형 전략과 국민 체감 성과 도출을 꾸준히 추진할 계획이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과 함께 연구와 창업, 성장을 아우르는 상생의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면서 “도전정신으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기술기반을 마련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활성화시킬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양종석 산업정책(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
-
양종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