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야행성 동물 눈 응용한 고휘도 발광필름 개발

재귀반사구조를 적용한 전계발광소자의 구조 및 반사광 시야 특성. 투명발광소자를 재귀반사전극에 적층 후 시야각 특성을 평가한 경우 넓은 광반사 특성을 보여준다는 것을 설명한 그림.
재귀반사구조를 적용한 전계발광소자의 구조 및 반사광 시야 특성. 투명발광소자를 재귀반사전극에 적층 후 시야각 특성을 평가한 경우 넓은 광반사 특성을 보여준다는 것을 설명한 그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손상혁)은 최병대 융합연구원 지능형소자융합연구실 책임연구원이 야행성 동물 눈의 빛 반사 원리를 응용, 기존보다 4배 이상 밝은 고휘도 전계발광 필름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형광체 분말을 이용한 발광필름 전계발광 소자는 유연성과 신축성이 있어 변형된 상태에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효율도 높지만 밝기가 낮은 것이 단점이었다.

연구팀은 빛이 산란되지 않고 광원으로 되돌아가는 야행성 동물 눈의 특성을 활용해 재귀반사전극 위에 광투과형 발광 필름을 도포한 전계발광 필름을 제작했다. 또 발광입자 고분자 바인더 복합체를 특정 비율로 혼합, 기존 기술 대비 휘도가 442% 향상된 필름을 개발했다.

이렇게 개발한 고휘도 발광 필름은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제작해 광고용 광원 및 조명으로 사용하던 기존의 전계발광 조명과 달리 가볍고, 휘거나 구부릴 수 있다. 실온에서도 제작이 가능, 기존의 전계발광 조명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병대 책임연구원은 “광 이용 효율이 매우 높은 야행성 동물 눈의 광 반사 원리를 발광 소자에 응용한 데 의의가 있다”면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에도 적용이 가능, 앞으로 시장 규모가 연간 120조원에 이르는 세계 조명 시장뿐만 아니라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선도하는 기술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