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역특화산업 63→47개로 줄여 예산 효율성 높인다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정부가 지역특화산업을 줄여 예산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융복합 산업 비중을 확대한다. 경제협력권산업은 6대 신산업 14개 프로젝트를 선정해 집중 육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2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지역경제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새해 지역사업 추진계획을 의결했다.

지역경제위원회는 그동안 지역 산업정책을 담당하는 산업부가 주관했다. 올해 하반기 중기부가 새로 출범하고, 일부 지역사업이 중기부로 이관됐다. 이에 따라 양 부처가 행사를 처음 공동 개최했다. 두 부처는 지역과 지역 혁신기관에게 일관된 메시지를 공유하고, 지역관련 정책과 사업 협력을 지속한다.

새해 지역특화산업 육성은 14개 시·도 주력산업을 기존 63개에서 48개로 조정한다. 이 중 '제조+정보통신기술(ICT)' 24개와 '제조+서비스' 11개 등 융복합 산업 비중이 73%에 달한다. 48개 주력산업은 연간 2900억원(산업당 평균 60억원)을 투입해 지역 기업 연구개발(R&D), 시제품 제작, 컨설팅·기술 지도 등을 지원한다. 향후 5년간 지역 스타기업 1000개를 선정하고 집중 육성해 6000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지역기업 지원사업에 '지역기업 혁신성장 바우처' 제도를 도입해 수요 기업의 서비스 선택 자율권을 확대한다.

경제협력권산업은 지역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6대 신산업 14개 프로젝트에 1805억원을 투입한다. 6대 신산업은 △바이오헬스 △스마트·친환경선박 △에너지 신산업 △전기·자율차 △첨단 신소재 △프리미엄 소비재로 지역 간 R&D 협력을 모색한다. 기존 지역 간 산업단위 협력에서 프로젝트별 목표 달성에 초점을 맞춘다.

새로 추진하는 커뮤니티비즈니스 활성화 사업은 사회적경제 기업 성장을 위해 135억원을 지원한다.

이날 회의에는 지역사업 의결과 함께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 지역투자제도 개편, 재생에너지 3020계획, LPG 소형저장탱크 보급 사업 등이 함께 논의됐다.

이인호 산업부 차관은 “산업부의 업종별 산업육성 정책과 중기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산업·기업 성장,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중기부·지자체 지역사업 예산] (단위:억원)

[지역주력산업 개편안]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정부, 지역특화산업 63→47개로 줄여 예산 효율성 높인다

정부, 지역특화산업 63→47개로 줄여 예산 효율성 높인다


양종석 산업정책(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