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아마존, 삼성전자 등이 손잡고 플랫폼 종속 없이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사용하는 통신표준을 내놨다. 이로써 스마트홈 시장 성장의 가장 큰 장벽으로 작용해 온 기기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마련됐다. 시장 선도업체가 적용을 선언한 만큼 플랫폼 종속 없는 완전한 '홈IoT 시대'가 열릴지 주목된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구글, 아마존, 애플, 삼성전자 등이 참여하는 민간 표준단체 CSA(Connectivity Standards Alliance) 내 스마트홈 워킹그룹은 스마트홈 통신 표준 규격을 발표했다.
'매터(Matter)'라고 명명한 표준은 IoT로 연동되는 스마트홈 기기의 인터넷(IP) 기반 표준 프로토콜이다. IoT 기기는 구글홈이나 애플홈킷, 삼성 스마트씽스 등 플랫폼과 연동돼 작동 과정에서 다양한 통신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이 '통신 언어'를 통일한 것이다. 매터 표준을 적용하면 IoT 기기의 언어를 통일, 플랫폼과 상관없이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글 인공지능(AI) 스피커인 '구글 홈'에만 연동된 기기도 아마존 '알렉사', 애플 '홈팟', 삼성 '스마트싱스'에서 작동할 수 있다.
적용 대상은 스마트 조명, 스위치, 온도조절기, 동작감지기, TV 등이다. 기능 대부분이 온·오프에 국한되기 때문에 데이터모델 설계가 쉽다.
올 하반기부터 개발한 표준을 IoT 기기에 적용하는 인증 사업을 실시한다. 업계는 출시 예정인 제품에 우선 적용할 예정이지만 소프트웨어(SW) 펌웨어 업데이트만으로도 표준 적용이 가능, 기존 IoT 기기 적용도 가능하다. 표준은 무료로 배포해 회원사가 자유롭게 검증하도록 지원한다.
상용화는 내년 초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구글은 온도조절기 등에 우선 적용해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아마존, 삼성전자, 애플 등도 적용 대상을 검토하고 있다.
표준 개발·실증에는 스마트홈 플랫폼 톱5 기업인 구글, 아마존, 삼성전자, 애플 등이 모두 참여한다. 칩셋 업체인 텍사스인스트루먼트, NXP, 실리콘랩스도 합류했다. 여기에 슈나이더일렉트로닉, 이케아, 화웨이 등 가전·정보기술(IT)솔루션 업체도 함께하면서 사실상 시장을 주도할 표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산업계가 주도한 IoT 통신 표준이 나오면서 플랫폼 종속 없는 완전한 의미의 '스마트홈 시대'가 열릴지 주목된다. 집 안에서 사용하는 IoT 기기는 2019년 평균 3개에서 지난해 9개까지 늘었다. 구글(구글홈), 아마존(알렉사) 등은 10만개가 넘는 IoT 연동 기기를 확보하며 성장을 거듭했다. 기기는 늘었지만 제어할 플랫폼은 제각각이어서 호환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됐다. 매터는 이런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제는 특정 플랫폼을 통해서만 IoT 기기를 제어하는 환경에서 벗어나야 한다”면서 “표준이 적용되면 사용자 편의성도 높아지지만 기기 제조사도 스마트홈 시장 진입이 한결 수월해져 생태계 조성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적용 범위가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체들은 올해까지 다양한 기기에 표준을 적용해서 검증하겠다는 계획은 세웠지만 실제 출시는 사업성을 고려해 신중히 접근할 공산이 높다. 특정 IoT 기기에 매터 표준을 적용하는 순간 경쟁사 플랫폼에서도 구동되기 때문에 자칫 고객을 빼앗길 수 있기 때문이다.
양성현 광운대 교수는 “IoT 표준화 단체 OCF를 포함해 스마트홈 기기 표준을 정립하자는 움직임은 계속됐지만 실제 적용 사례는 많지 않다”면서 “이번 매터 표준은 시장 리더들이 함께 만들고 움직이는 만큼 기존과는 다를 수 있다. 초기에는 사업성을 고려, 시기와 대상을 신중히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철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