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리포트] 한국, 6G 예타 9000억원 도전

[스페셜리포트] 한국, 6G 예타 9000억원 도전

【사진1】

한국은 6세대(6G) 이동통신 주도권 확보를 위해 선제 투자를 단행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다음달 9000억원 규모 6G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한다. 6G 기술 및 표준 선점으로 글로벌 6G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윤석열 정부가 공약한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과 2026년 시범 시연 등도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6G 사업을 통해 글로벌 기술 표준 주도를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산·학·연 간 공동으로 혁신 기술을 개발하고, 통합 시연을 준비할 계획이다. 실제로 6G 예타 기획 단계부터 정부 부처, 산하기관, 학계, 기업이 모여 6G 비전을 공유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제조사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참여해 주파수 대역·네트워크 설계 등 관련 연구 현황을 소개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이번 예타는 2025년까지 총 1917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인 6G 원천기술개발에서 한층 더 발전해 실제 상용화를 위한 경쟁력 확보, 시범 사업, 인재육성, 글로벌 협력 관련 내용까지 함께 담겨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실제 높은 관심을 반영하듯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진행한 6G 핵심기술 수요조사에는 100여건 이상이 접수되기도 했다.

예타 기획반은 6G 구현을 위해 △무선통신 △무선통신 부품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유선 네트워크 △시스템 △기반 조성 등 6개 분야에 대해 총 17개 전략기술을 우선 개발하기로 했다. 이후 2026년 Pre-6G 시연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세부 기술 52개를 확보할 계획이다. 이어 2030년까지 상용화 기술을 최종 확보, 세부 기술 70개를 선보인다.

주파수 조기 확보를 위한 노력이 집중된다. 기술적 모멘텀을 만들기 위해 높은 속도와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는 어퍼미드밴드(Upper midband·7~24GHz)와 초성능을 위한 서브테라헤르츠(Sub-㎔·92~300GHz)를 아우르는 후보 대역이 논의된다. 이같은 주파수를 구현하기 위한 E-MIMO(Extreme massivr MIMO) 등 관련 기술이 개발될 예정이다.

규모가 크고 복잡성이 증대되는 6G 특성상 AI(인공지능) 네이티브, 클라우드 네이티브 등 네트워크 지능화를 위한 기술도 집중 연구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가 스스로 최적화하는 등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스마트 중계기, 안테나 기술인 RIS 등 혁신 기술에도 투자한다.

과기정통부는 6G 연구개발을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6G 생태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중소기업도 6G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관련 장비, 부품, 모듈, 단말 생태계를 함께 준비한다.

정예린기자 yeslin@etnews.com,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