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대(6G) 이동통신 핵심기술인 위성통신시장 선점을 위해 생태계 조성 '마중물' 역할로서 정부의 집중 투자와 주파수 선점, 인력 양성이 필수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정부는 위성통신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통과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주파수 태스크포스(TF) 구성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30일 경기도 평택 인텔리안 테크놀로지 본사에서 박윤규 제2차관 주재로 위성통신 분야 '제11차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참석 전문가와 산업계는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 생태계 조성과 발전을 위한 의견과 전략을 제시했다.
강충구 고려대 교수(위성통신포럼 의장)은 “위성통신은 글로벌시장에 진출해서 새 시장을 키우려는 기업이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분야”라며 “단말과 진흥 정책, 표준에 대한 리더십과 인력양성에 대한 부분을 집중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위성통신은 기술개발 초기시장임을 고려해 민관협력이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성상엽 인텔리안테크 대표는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변화 속도가 매우 빠르다”며 “우수한 제품을 보유하고도 우주검증 이력이 없어 판로개척에 제한이 있는 만큼 정부가 실증사업 등을 통해 지원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위성통신 활용이 활발한 군사 분야와 민간협력 중요성도 제시됐다. 최성훈 방위사업청 민군협력 팀장은 “국방에서도 6G의 기초가 될 만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데, 기술이 과기정통부와 산업계로 이어지며 선순환되는 민군 협력체계를 만들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창헌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부문장은 “정부가 위성통신 예타와 같이 선행연구와 투자에 대응할 수 있는 마중물을 잘 챙겨달라”며 “특히 주파수는 대부분 정부주도로 개발하는 만큼, 정부가 체계적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위성 주파수와 관련, 보다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최경일 KT SAT 전무는 “해외 위성통신 사업자의 국내 진출시 국가 공공망과 간섭을 예방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세경 AR테크놀로지 실장은 “국내 위성을 운영하는 업체나 기관에 할당절차 개선, 심사할당 등과 관련해 전파법상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인력 양성과 관련, 이문규 서울시립대 교수는 “국내 대학에서는 이미 인구절벽이 느껴지고 있다”며 “한정된 인력으로 우수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교와 산업체, 연구소, 군 등 연계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차관은 “새로운 우주시대에 대비한다는 측면에서도 위성통신 예타에 적극 대응해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며 “주파수 확보 문제와 관련해서는 민관 TF를 구성한다든지 협의체를 만드셔서 적극적으로 대응을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간담회에는 AP위성, AR테크놀로지, LIG넥스원, KT SAT, KAI, RFHIC, SK텔링크, 솔탑, 인텔리안테크. 한화시스템 위성통신기업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국방과학연구소(ADD) 등이 참여했다.
저궤도 위성통신서비스 예시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