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획]통신 블랙아웃에 일상 마비…'디지털 펀더멘털' 키워야

[신년기획]통신 블랙아웃에 일상 마비…'디지털 펀더멘털' 키워야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 네이버 뉴스와 검색, 쿠팡의 새벽배송, 우아한형제들의 배달의민족, 구글 유튜브 스트리밍 등 부가통신서비스도 생활 필수재로 인식된 지 오래다. 유·무선 통신 등 기간통신서비스와 방송뿐 아니라 부가통신서비스는 정보통신기술(ICT)에 기반한 서비스라는 특성을 갖는다. 설정 오류 장애를 비롯해 재난·재해 영향과 해커 등 사이버위협에 따른 장애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 기간·부가통신서비스 장애는 일상생활 전반을 마비시킬 수 있는 변수다. 모든 게 스마트폰 하나로 해결되는 시대에 기간·부가통신 장애 발생 사유와 빈도, 대응방안과 통신·데이터센터(IDC)·게임산업 대표 기업의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정책을 소개한다.

2021년 10월 네트워크 경로설정 오류로 인한 KT 전국 유·무선망 1시간 29분 장애가 발생했다. 지난해 10월에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영향으로 카카오톡과 관련 서비스가 최장 127시간 33분가량 블랙아웃됐다. 기간·부가통신서비스 장애 한 번에 일상생활이 마비되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구글·네이버·카카오·페이스북 등 대형 부가통신사업자 서비스는 월 2회 꼴로 장애가 발생한다. 유·무선망과 초고속인터넷 등 기간통신서비스는 연간 5~6차례, 유료방송 서비스는 월 1회 정도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다.

우리가 매일 이용하는 서비스 장애 발생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의미다. 기간·부가통신서비스와 미디어 서비스 주요 장애 원인은 서비스·시스템 설정 오류, 유지보수·성능개선 작업 과정에서 버그 발생, DDoS 공격 등 사이버위협, 서비스 이용자 급증으로 인한 과부하, 재난·재해 발생에 따른 영향, 단선 등 다양한 내외부 요인이 존재했다.

시스템 유지보수 작업 중 설정 오류에 따른 2020년 12월 구글의 유튜브·메일·앱마켓·개인 클라우드 등 장애, 소프트웨어 개선작업 중 버그 발생에 따른 2021년 3월 페이스북·인스타그램 장애, 서버 일부 장비 오류로 인한 올해 4월 카카오 다음메일 장애, 서비스 접속 불가와 간헐적 접속 불안 현상이 발생한 11월 네이버 게임·카페·지도 장애 등이 대표적이다.

통신 장애는 한국전력 정전이나 도로공사 등 외부 요인과 태풍·집중호우·산불 등 자연재해가 주된 원인이었다. 방송사 역시 자연재해나 단선 등 외부 요인과 내부 장비 고장·셋톱박스 오류 등이 장애 원인으로 확인됐다.

정기적인 시스템 업데이트와 서비스 고도화가 필요한 기간통신서비스와 부가통신서비스 특성상 상시 장애 발생 가능성이 있다. 정부와 기업은 상존하는 시스템·서비스 장애 가능성을 고려, 재해복구(DR) 시스템 확보 등 물리적 조치뿐 아니라 장애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고 끊임없는 대비로 장애 발생 시 즉각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기간통신망 장애 역시 정부·기관 행정과 기업 업무, 국민 일상생활이 마비될 수 있다. 재난방송 의무가 있는 방송사의 재난·재해 상황에서 방송 장애 시 재난 상황 전파 불가로 치명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기간통신사업자와 방송사 역시 장애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장애 발생 시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역량 확보도 필요하다.

통상 통신·인터넷 서비스를 구성하는 라우터 등과 각종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기반한 소프트웨어다.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설정 입력 값, 버그, 사이버침해, 전력 공급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문제 가능성이 상존하는 영역으로 상시 모니터링과 서버 이원화, 주기적인 유지보수 등을 통해 장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장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하는 게 최선의 대응방안이다.

통신학계 관계자는 “기업은 약관에 명시된 서비스와 상품 제공을 위한 원활한 인프라 제공을 할 의무가 있다”며 “비상 상황에서 대응 매뉴얼을 최신화하고 장애·사이버침해 상황을 가정해 테스트를 지속, 문제가 발생했을 때 최소한의 시간 내 해결할 수 있도록 일상적으로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장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리·감독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핵심 통신시설을 중요도에 따라 A~D등급으로 나눠 통신망·전력공급망 이원화 등을 의무로 부여하는 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안처럼 기간통신망뿐만 아니라 필수 서비스로 인식되는 부가통신서비스에도 적절한 최소한의 의무를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국회는 지난해 10월 5일여간 카카오톡 먹통 사태를 겪은 직후 방송통신발전기본법·전기통신사업법·정보통신망법 일부개정안 일명 '카톡 먹통 방지법'을 의결했다. 네이버·카카오 등 대형 플랫폼 사업자에 데이터센터 다중화 등 서비스 장애 대책 의무를 부과하는 게 골자다.

법률 개정으로 기존 통신사 등 기간통신사업자와 지상파방송, 종합편성채널, 보도방송채널사용사업자뿐 아니라 대형 플랫폼 업체와 데이터센터 업체도 긴급 복구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재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서버·저장장치·네트워크 등 이중화·이원화, 물리적·기술적 보호 조치 등을 통해 주요 데이터를 보호하며 안정적인 서비스가 제공하도록 법적 근거를 확보했다.

2020년 12월부터 일평균 이용자 수가 100만명이 넘고 하루 평균 트래픽양이 국내 총 트래픽의 1% 이상인 대형 부가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안정성 확보 및 관련 자료 제출 의무도 법률로 명시됐고 과기정통부가 관리·감독하고 있다.

이렇듯 정부 정책과 국회 입법을 통한 제도 마련뿐 아니라 기업의 자체적인 '디지털 펀더멘털' 강화도 필요하다. 디지털 생태계 조성·유지를 위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네트워크와 안정적인 전력 공급, 방화·방재·보안·안전 등 디지털 환경을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만들기 위한 기초체력을 길러야 한다는 의미다.

기간·부가통신서비스를 위한 체계적 시스템 구성, 실시간 백업과 이중화·이원화,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축, 정기적이고 상시적인 점검과 고도화, 비상대응체계 마련과 연습, 효과적 거버넌스 구축 등이 요구된다.

최경진 가천대 교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 기본은 안정적이고 끊김 없는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기간통신뿐 아니라 부가통신사업자도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안정적이고 끊김 없는 디지털 환경을 만들기 위한 예방·비상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