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대(5G) 이동통신 특화망(이음5G)이 전국 37개소에 구축됐다. 5G 특화망은 기업이 자체 용도를 위해 구축하는 사설 네트워크다. 맞춤형 성능 확보 뿐만 아니라 혁신네트워크기술 테스트베드 확산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실증사업과 내년도 예산 확대가 요구된다.
국회 입법조사처가 발간한 2023 국정감사 이슈분석에 따르면 2023년 6월 14일 기준으로 22개 기관, 37개소에 이음 5G 주파수가 공급됐다.
사업자가 직접 네트워크를 구축해 해당 기업의 임직원이 자가망 형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지정' 형태가 11개 기관(13개소)으로 나타났다. 주파수 지정 형태로 이용하는 기업은 한국전력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력원자력, 유엔젤, 정부청사관리본부 등이다.
기간통신사업자가 이용 사업자 요청을 받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임직원, 고객 등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할당' 형태가 11개 기관(24개소)에 구축됐다. 네이버클라우드를 필두로 LG CNS·LG전자, SK네트웍스서비스, 세종텔레콤, 현대오토에버, LS일렉트릭, 메가존클라우드 등이 5G 특화망 기간통신사업자 자격을 획득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5G 특화망 응용분야로 로봇, 공장, 물류, 의료, 연구개발(R&D), 차량, 항공, 에너지, 시설관리, 안전관리 등 폭넓은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활용사례로 △사옥 내 로봇 시스템 연결 △공장 내 인공지능(AI) 카메라를 활용한 불량품 검사 △무인운반차량 운용 △가상·증강현실(AR·VR) 도면 제공 △병원 내 실시간 비대면 협진 △변전소 내 디지털트윈 기반 관제 등 서비스가 제시됐다.
5G 특화망은 네이버클라우드가 2021년 12월 처음으로 주파수를 할당받으며 시작됐다. 1년 8개월 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실증이 완료된 만큼 5G 특화망 확산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5G 특화망은 융합 서비스 뿐만 아니라 오픈랜과 클라우드 코어망 등 혁신 네트워크기술 시험장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입법조사처는 “5G특화망과 융합을 통한 다양한 혁신 사례를 발굴하고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노력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며 “이음 5G 확산을 통해 5G 융합 서비스 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5G 특화망 실증사업과 관련, 올해 약 120억원 예산이 투입됐다. 내년도 정부예산 심의 절차가 진행 중이다. 5G 융합서비스 확산을 통한 경제가치를 고려하면, 관련 사업과 예산 유지·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입법조사처는 “AI를 접목한 스마트공장, 스마트병원 등은 5G 특화망 서비스가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에 5G 이음 사업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실증사업이 사례로만 끝나지 않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