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인성 쇼크, 원인 질환에 따라 맞춤 치료 필요

환자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심인성 쇼크도 원인 질환에 따라 치료 결과가 상이한 만큼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순환기내과 양정훈·최기홍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강단비 교수 연구팀이 최근 '유럽심부전학회지'에 심근경색과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의 임상적 특성과사망률 추이 등을 비교한 연구를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심인성 쇼크는 심장의 펌프 기능이 급격하게 나빠져 우리 몸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하지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심근경색이나 심부전과 같이 중증 심장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게 일반적이다.

양정훈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조주희 임상역학연구센터 교수, 최기홍 순환기내과 교수, 강단비 임상역학연구센터 교수
양정훈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조주희 임상역학연구센터 교수, 최기홍 순환기내과 교수, 강단비 임상역학연구센터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해 2010~2020년 중환자실에 입원한 18세 이상 심인성 쇼크 환자 13만6092명을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 동안 환자의 사망률은 감소하고, 치료비용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심인성 쇼크로 인한 원내 사망률은 심부전이 원인일 때 40.3%로 심근경색(28.5%)으로 인한 경우보다 높았다.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의 사망 위험이 심근경색이 원인이 환자보다 1.47배 증가했다.

이 같은 경향은 환자가 퇴원한 후에도 이어졌다.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의 성공적인 퇴원 후 추적 관찰 사망률 19.3%였던 데 반해 심근경색 심인성 쇼크 환자는 8.5%로 낮았다. 이 차이는 심인성 쇼크가 심장 기능 저하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원인 질환에 따른 동반 합병증의 회복 정도가 달랐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심근경색 심인성 쇼크 환자의 경우 84.2%가심혈관중재술 또는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았고, 7.5%가 에크모(ECMO) 치료를 받았다. 심부전이 원인이었던 환자는 이러한 치료를 받은 비율이 각각 17.6%, 4.8%로 낮았다.

반면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는 심장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심근경색 환자보다 1.67배 높았다. 같은 심인성 쇼크처럼 보여도 심부전의 주원인인 경우에 좌심실보조장치 및 심장 이식 등의 고난도 심장대체치료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식 장기 부족 및 기계순환보조장치 보급 제한 등 국내 여건 상 고난도 심장대체치료의 어려움이 임상 결과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심인성 쇼크 치료가 어려운 상황에서 간호등급이 높을수록 사망률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연구팀은 동일한 연구 기간 내 심인성 쇼크 환자 7만2950명을 대상으로 병상당 간호사 수를 따져 1등급(0.5명 미만), 2등급(0.5명 이상 0.63명 미만), 3등급 이상군(0.63명 이상 0.77미만)으로 나눠 사망률 차이를 비교했다.

그러자 심인성 쇼크로 인한 병원 내 사망률은 간호 1등급 30.6%, 2등급 37.5%, 3등급 40.6%로 계단식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환자실 내 간호사 수를 늘리는 게 국가 전체 차원에서도 비용 효과적이라는 추계도 나왔다.

간호 1등급의 경우 환자 1인당 비용이 2등급보다 199달러, 3등급보다 423달러가 추가 발생했다. 1년을 기준으로 1등급일 때 2등급인 경우보다 14.1일, 3등급인 경우보다 29.3일 환자가 더 생존했다.

이를 비용으로 환산해 1등급인 병원과 같은 생존기간을 기대하려면 2등급 병원에서는 연간 2만5047달러, 3등급 병원이 4만2888달러를 더 들여야 한다는 계산도 나왔다.

양정훈 교수는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의 높은 사망률은 여전히 넘어야할 과제인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기증 문화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고 최첨단 심쟁대체치료 의료기기의 국내 도입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행정적인 노력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