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김영준 기자

누구보다 빨리 국내 과학기술 성과를 전합니다.

기자에게 메일 보내기
  • 기사 썸네일
    원자력연, 우라늄 흡착 하이브리드 나노 新소재 개발…방사성폐기물 관리 기여

    우라늄 흡착제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우라늄 흡착 성능이 탁월하면서도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이기까지 한 신소재를 개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흡착제에 사용되는 실리카 물질에 '유기인산계 화합물(HDEHP)'을 결합해 나노구조 신소

    2025-02-24 09:24
  • 기사 썸네일
    폐기시 원재료 회수, 자가 회복까지 가능…KIST, 두 마리 토끼 잡은 스마트 고분자 개발

    자가 회복 기능 등을 갖춰 최근 각광받는 '지속가능 고분자 소재'는 복잡한 합성 과정 탓에 분리수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데, 우리 연구진이 이런 문제를 해소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원장 오상록)은 김태안 전자파솔루션융합연구단 박사팀이 자가 회복 기능과 높은

    2025-02-23 12:00
  • 기사 썸네일
    딥시크, 美 절반 비용으로 수준은 버금가…“국산 LLM에 방법론 접목하자”

    김정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팀(테라렙)이 최근 세계적으로 돌풍을 일으키는 '딥시크'를 분석했다. 아직 부족한 부분이 있지만, 적은 비용으로 챗GPT 등 미국 거대언어모델(LLM)에 버금가는 성과를 냈으며, 그 방법론을 우리 K-LLM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2025-02-21 17:25
  • 기사 썸네일
    주소연 KAIST 박사, 세계적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부편집장 임명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주소연 신소재공학과 박사(지도교수 홍승범)가 한국인 최초로 세계적인 귄위의 재료 과학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출판 개발팀 부편집장(Deputy Editor)으로 임명됐다고 밝혔다. 박사과정 졸업(이달)과 동시에 세계적인

    2025-02-21 10:12
  • 기사 썸네일
    과총, 국제사회 전략적 '협력 네트워크' 강화 나선다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태식)는 2025년 신규사업으로 국제우주대학 우주연구 프로그램인 'SSP25'를 국내 최초로 개최하고, 과학기술인·지역주민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 '과학기술 전당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신규사업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국제

    2025-02-20 18:58
  • 기사 썸네일
    UST, 2025년 전기 학위수여식 개최…총 197명 학위수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총장 강대임)는 20일 오후 1시 30분, UST 대학본부 강당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기관장 등 내외 귀빈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는 박사 96명, 석사 101명 총 197

    2025-02-20 18:53
  • 기사 썸네일
    기계연 스쿨, UST 학위수여식에서 박사 8명 및 석사 2명 졸업생 배출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은 20일 오후 1시 30분, UST 대학본부 강당에서 개최되는 'UST 2025년 전기 학위수여식'에서 KIMM스쿨 박사 8명, 석사 2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기계연에서 경험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산업 혁신을 주도할 창의·융합형 인재들이

    2025-02-20 13:05
  • 기사 썸네일
    원자력연, 27일 사업화 유망 기술 설명회…58개 기술 소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제10회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업화 유망 기술 설명회'를 오는 27일 서울 스페이스쉐어 삼성역센터 리젠시홀에서 개최한다. 2016년에 시작해 매년 꾸준히 열려 10주년을 맞이한 올해 설명회에서는 연구원이 보유한 2000여 개의 특허 중 △차세대 원자력

    2025-02-20 13:01
  • 기사 썸네일
    한의학연, '사물탕' 난임 치료 효능 규명할 데이터 구축…난임 치료 기술 개발 기여 기대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진용)은 유수성 한의약융합연구부 박사팀이 이해승 부산대 약대 교수팀과 '사물탕'을 구성하는 38개 성분 각각에 대한 고령 생쥐 난소 전사체 데이터를 구축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사이언티픽 데이터에 1월 15일 게재됐다. 사물탕은 당귀,

    2025-02-20 12:56
  • 기사 썸네일
    KBSI, 나노소재 기반 '루게릭병' 치료법 제시…임상 연구·적용 기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원장 양성광) 연구진이 난치성 신경퇴행성 질환인 '루게릭병(ALS)' 핵심 병리 기전인 'TDP-43' 단백질 응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소재 치료법을 제시했다. 이영호 KBSI 은 첨단바이오의약연구부 박사팀이 홍영빈 동

    2025-02-20 11:18
  • 기사 썸네일
    KAIST, 우리 '뼈' 닮아 사용할 수록 강해지는 신소재 구현

    우리 뼈에 외부 하중이 가해지면 내부 피로부터 미네랄이 합성돼 골밀도가 상승한다. 사용할 수록 더 강해지는 것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이 이런 원리에서 영감을 얻어, 사용할수록 단단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KAIST는 강성훈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2025-02-20 10:57
  • 기사 썸네일
    에너지연, CO₂ 원천 분리 발전 기술 실증…증기 생산도 '세계 최초' 성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이 이산화탄소(CO₂) 를 원천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가스 발전 기술을 세계 최대 규모로 실증하고, 전력 생산에 필요한 증기 생산까지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에너지연은 류호정 박사 연구진이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과 함께 이같은 성과를

    2025-02-20 10:40
  • 기사 썸네일
    UST, 신입생 예비교육 'STAR TREK+' 진행…총 14개국, 223명 교육 수료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총장 강대임)는 2025학년도 전기 입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신입생 예비교육 프로그램(STAR TREK+)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19일까지 2주간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14개국 223명이 수료했다. 이번'S

    2025-02-19 19:20
  • 기사 썸네일
    KAIST, 3년 간 학사과정 지원 61% 급증…2025학년도 학사과정 입학식 개최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최근 3년간 학사 지원자가 61%(연평균 증가율 26.9%), 외국인 대학원 지원자가 64.5%(연평균 증가율 28.2%) 급증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신입생을 맞이하기 위해 19일 오전 10시 대전 본원

    2025-02-19 18:04
  • 기사 썸네일
    철도연, 20일 창립 29주년 세미나 개최…하이퍼튜브 성과 등 소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한석윤)은 20일 오후 1시, 서울 롯데월드타워 SKY31 컨벤션에서 '한계를 넘다! 고속·대용량 철도기술의 혁신'을 주제로 창립 29주년 기념 세미나를 개최한다. 철도기술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교통 인프라를 위한 고속화·대용량 기술의 현

    2025-02-19 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