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원장 오상록)을 비롯한 우리 연구진이 기존 여러 문제점을 해결한 과산화수소 생산 촉매를 개발했다. 실용성과 상용화 가능성을 두루 갖춘 고효율 촉매다. KIST는 김종민·한상수 박사가 이재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문준희 한국기초과학
-
'친환경 과산화수소 생산 길 열었다' 공기 중 산소 과산화수소 전환 촉매 개발2025-03-09 12:00
-
[데스크가 만났습니다]양성광 원장 “KBSI는 산·학·연 핵심 조력자…가속기 등 핵심 시설 구축도 순항”
과학기술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은 특수한 연구 현장이다. 공공성을 띠면서도, 공공기관보다 성과 허들이 높다는 부분이 특히 그렇다. 제약 속에 성과를 내야 한다. 이 때문에 기관 밖, 이른바 '원외' 출신 기관장은 우려를 사기도 한다. 기관에 새로움을 더할 것으로 여겨
2025-03-08 08:00 -
“초고속 통신 구현할 세계에서 가장 빠른 테라헤르츠 광변조 기술 개발” 포항가속기연구소, 신희준 박사 연구팀
포항가속기연구소(소장 강흥식)는 신희준 박사 연구팀이 노준석 포스텍(POSTECH) 교수팀과 공동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테라헤르츠(㎔) 대역 광변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응용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
2025-03-07 10:12 -
한·일 공동연구팀, 단일 분자 양자상태 실시간 관측·제어 기술 개발
한·일 공동 연구팀이 머리카락보다 얇은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물질을 시각화해 관찰할 수 있는 주사터널현미경(STM)과 피코초(ps, 1ps는 1조분의 1초) 단위의 매우 짧은 시간 스케일을 가진 테라헤르츠(㎔) 광을 결합해 분자 수준에서 발생하는
2025-03-07 04:00 -
엠디엑스, 실리콘밸리 투자 업고 북미 지능형 바리스타 로봇 시장 정조준
대구지역 로봇기업 엠디엑스(MDX·대표 윤덕호)가 외국 자본 투자를 기반으로 북미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엠디엑스는 지능형 로봇 바리스타 시스템 선도기업이다. 바리스타 시스템은 인공지능(AI)과 자동화 기술을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로봇을 탑재한 최첨단 무인 카페 솔루
2025-03-07 01:00 -
경북대-나노종기원-카이스트, 고성능·내구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플렉서블 에너지 저장 소자 개발
경북대학교와 나노종합기술원, 카이스트 연구팀이 8인치 크기의 대면적 플렉서블 기판 위에 고성능 마이크로슈퍼캐패시터(Microsupercapacitor)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웨어러블 기기와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서 더 오래 지속되며 효율적인 에너지 저장 장
2025-03-07 01:00 -
STEPI, “전략적인 ODA 통한 인재 양성으로 '과기 인재확보'해야”
기술패권국 뿐만 아니라 'ASEAN'과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도 과학기술 인재확보 전략을 수립하는 등 글로벌 두뇌획득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공적개발원조(ODA)의 전략적 활용을 통한 협력국과 과학기술 인재를 함께 양성하고 교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과학기술정책연구
2025-03-06 18:39 -
기계연, 기업 맞춤 지원 강화한다…대전상의와 협력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이 대전 지역기업과의 협력 강화에 나선다. 기계연은 맞춤형 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기업 간 지속 가능한 협력 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역 산업 디지털 혁신과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기계연은 기업이 겪는 기술적 어려
2025-03-06 18:25 -
핵융합연, 군산시·군산교육발전재단과 '미래 과학 인재 양성' 맞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원장 오영국)은 6일 오전 10시 군산시청에서 군산시 및 군산교육발전진흥재단과 미래 인재 양성 및 지역 과학 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최용섭 핵융합연 플라즈마기술연구소장과 강임준 군산시장, 이항근 군산교육
2025-03-06 18:19 -
에너지연, '그린수소' 경제적 생산 청사진 제시…“알칼라인·PEM 수전해 병용해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박정호 에너지AI·계산과학실 박사팀이 미래 친환경 수소 생산 기술로 손꼽히는 '수전해 기술' 경제성을 분석하고 최적 운영 방안을 제시했다고 6일 밝혔다. 그린수소의 생산에는 주로 알칼라인 수전해와 양성자교환막 수전해(PEM 수전해) 기술이 활용된다
2025-03-06 18:15 -
[MWC25]ETRI, 유럽우주국과 6G 위성통신기술 협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유럽우주국(ESA)과 6G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기술 협력을 본격 추진한다. ETRI는 5일, 스페인 바르셀로나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전시장에서 ESA측과 6G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상호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6일 밝혔다. 협력 분야는
2025-03-06 11:07 -
원자력연, '우주 방사선' 견디는 나노반도체 내방사화 기술 구현
방사선을 견디는 '내방사화 기술' 구현이 차세대 우주항공용 반도체 개발 관건인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 양성자 내방사화 기술을 개발했다. 국산 우주항공용 반도체 경쟁력 확보에 큰 기반이 될 전망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는 강창구 방사선융합연구부 박사팀이
2025-03-06 10:46 -
7배나 '쭉쭉'…나무 뿌리 모방한 신축성 전자기판 국내 개발
우리 연구진이 최대 700%까지 늘어나는 신축성의 스트레처블 전자 제품 기반 기술을 구현했다. 나무뿌리가 흙에 단단히 고정되는 생체 구조를 모방한 결과다. 스마트 저항 밴드와 스트레처블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 등 폭넓은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한국
2025-03-06 10:20 -
문제일 DGIST 교수, 과기정통부 장관상 수상…국내 과학기술 국제적 위상 높이는 역할 기여 평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이건우)은 문제일 뇌과학과 교수가 국제기구 대한민국 과학위원 활동, 국제 공동연구 수행 및 국가 간 인력교류 추진을 통해 대한민국 과학기술 위상 제고에 기여한 공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6일밝혔다. 문 교수는 국제기구
2025-03-06 09:40 -
GIST, 초고해상도 양자분광기 구현 기술 개발…“양자센서 기술 가능성 제시”
광주과학기술원(GIST·총장 임기철)은 함병승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가 독자적으로 구축한 '초해상 양자센싱' 이론에 기초해 기존 분광기에 탑재 가능한 '양자분광기' 구현 방법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양자분광기는 기존 분광기의 물리학적 한계(회절 한계 또는 표준양자
2025-03-06 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