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칼럼

  • 기사 썸네일
    AI 시대 이동통신망의 진화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등장 이후 우리 삶을 윤택하게 만들어 주는 다양한 AI 서비스들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제는 개인 맞춤형 콘텐츠 추천, 음성 기반의 개인비서, AI를 활용한 다양한 업무 보조 서비스까지 AI가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2025-03-31 16:00
  • 기사 썸네일
    MRI 안전성 전문가 양성은 선택 아닌 필수

    자기공명영상(MRI)은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내부 조직을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어 현대 의학에서 필수 의료영상 진단장비로 자리잡았다. 특히 7T(Tesla·자기장 세기) 이상의 초고자기장 MRI가 도입됨에 따라 해상도와 진단 성능이 향상됐지만 이에 따른 안전성 문

    2025-03-17 16:00
  • 기사 썸네일
    전자파인체보호기준 개정, 국민 안전이 먼저

    2000년 12월 우리나라는 국민 안전을 위해 무선설비 등의 전자파 영향을 고려한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을 정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비전리복사방호위원회(ICNIRP) 인체보호기준의 권고와 한국전자파학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이 연구·제안한 '전자기장 노출에

    2025-03-03 16:00
  • 기사 썸네일
    전파산업의 현재와 미래 발전 방안

    현대 사회에서 전파 없는 일상생활은 상상하기 어렵다. 스마트폰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얻고 소통하는 것은 전파 덕분이다. 메시지, 동영상 등 디지털화된 정보는 변복조기, 주파수 합성기, 필터, 고주파 증폭기 등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된 송수신기를 통해 디지털 신호와

    2025-02-17 16:00
  • 기사 썸네일
    반석 위에 세운 전파와 모래 위의 전파

    필자는 20여년간 강단에서 전자기학을 강의해 오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현대물리학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발간되고 출판되는 단행본 및 논문지를 수집하고 있다. 그 목적은 교육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저자들이 저마다의 개성을 발휘해 어떤 생각과 어떤 개념에 바탕을 두고

    2025-02-03 16:00
  • 기사 썸네일
    양자역학과 주사위놀이

    1997년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은 다뉴브 강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실험실을 광섬유로 연결, 이 실험실들의 광자 상태가 서로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양자현상을 증명했다. 이는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양자현상이 실재로 존재한다는 것을 밝힌 중요한 사건이며 서로 떨어진 두 곳의

    2025-01-20 16:00
  • 기사 썸네일
    2025년 전파인이 맞이한 기회와 도전

    우리가 항상 피부를 맞대고 있는 가장 밀착된 물리 환경은 무엇일까. 혹자는 공기라고 대답할 것이다. 일부는 공기 중 가장 분포가 높은 질소 분자라고 답할 수도 있겠다. 모두 옳은 말이다. 그러나 대부분이 인지하지 못하지만 우리를 에워싸고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물리 환

    2025-01-06 16:00
  • 기사 썸네일
    대한민국 통신과 계륵

    계륵은 소설 삼국지에서 먹어보면 별로 얻을 것이 없고 그렇다고 버리기에는 아까운 한중(漢中) 지역을 닭의 갈비뼈를 빗댄 고사성어다. 삼국지에서는 한중 지역을 두고 전쟁을 벌이기 망설이는 대목에서 언급된다. 현재 대한민국의 통신 산업은 중대한 기로에 서있다. 지난 수십년

    2024-12-23 16:00
  • 기사 썸네일
    민군 겸용 저궤도 위성 동맹 만들자

    완전히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으려면 새로운 기술이 있어야 한다. 이를 원하는 수요자 규모가 충분한지, 기술력을 갖춘 기업은 있는지 등 산업 생태계 전반도 함께 살펴봐야 한다. 우리나라는 패스트 팔로어 방식의 기술 확보 전략으로 일정 수준 경쟁력은 확보하면서도 한계를 뛰어

    2024-12-09 16:00
  • 기사 썸네일
    전자파 기술 진화와 우리의 삶

    우리 주변에서 전자파를 사용하지 않는 분야는 찾기 힘들다. 휴대폰부터 TV, 전자레인지, 블루투스 스피커, 스마트기기까지 전자파 없이는 작동할 수 없다. 전자파는 우주·항공, 국방, 산업, 의료 및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2000년 초반 정보

    2024-11-25 16:00
  • 기사 썸네일
    전자파적합성, 규칙기반에서 위험기반 관리로

    알파고와 챗GPT를 기점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AI) 기술분야가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서비스가 고도화되고 있으며 전파의 이용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일에는 작용과 반작용이 있다. 전파 이용이 많아지면서 무선

    2024-11-11 16:00
  • 기사 썸네일
    빔포밍 시스템과 전자파, 우리의 미래

    통신기술 발전으로 전자파와 빔포밍 시스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적 논란이 많았던 경상북도 성주의 사드 레이더와 한국의 기술력을 보여준 KFX21에 장착된 레이더는 모두 빔포밍 시스템이 적용된 사례다. 군(軍)처럼 특수한 영역에서 주로 사용됐던 빔포밍 기술은 5세

    2024-10-28 16:00
  • 기사 썸네일
    유한 속 무한성, 테라헤르츠파

    전자기 스펙트럼 자원은 한정돼있다. 무선 통신은 이러한 제한된 스펙트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발전돼왔다. 그런데 이 스펙트럼 자원은 공기나 태양처럼 모든 인류에게 공평하게 주어지는 자원이 아니다. 이 스펙트럼 자원은 개발해야 하는 자원이다. 그렇다면 천연

    2024-10-14 16:00
  • 기사 썸네일
    인공지능 시대의 수학

    20세기 동안 인류가 쌓아 올린 지식의 양은 인류 태동기부터 20세기 전까지 이룬 양보다 수십에서 수백배 많고 시간이 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지식 발전의 원동력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확실한 것은 그 저변에 수학이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다. 갈릴레이가

    2024-09-23 16:00
  • 기사 썸네일
    문닫고 들어가 문열고 나온 전자파 인체영향 연구

    1996년 매스컴에서 다룬 ‘휴대전화가 뇌를 달군다고?’라는 제목의 기사는 전자파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고조시켰다. 시급히 대책 마련에 나선 정부는 한국전자파학회에 ‘전자기장과 생체관계 연구회’를 발족시켜 전자파에 대한 인체영향 연구를 추진했다. 당시만 해도 관련

    2024-08-19 16:00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