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정감사도 마지막 날이 됐다. 수개월에 걸친 국회 공전을 거쳐 지난 7일 부랴부랴 시작된 국감이다. 준비가 부족할 수밖에 없었고, 예상대로 내용도 별다를게 없었다.
이런 와중에도 국감에서 지적되던 구태들은 계속됐다. 논리가 부족한 일방적인 주장을 하고, 피감기관 관계자에게 호통치고, 기존에 제기됐던 사안을 반복하는 등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일부이긴 하지만 국감을 자신의 지역구를 챙기기 위한 장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여전했다.
과거에는 국감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고, 정부의 문제를 날카롭게 지적한 의원이 스타처럼 부상하는 때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의 알맹이 없는 국감은 국민의 관심과 주목도 받지 못했다. 그저 연례행사 정도로 여겨질 뿐이다.
오죽하면 이번 국감에 대한 평가가 ‘맹탕국감’ ‘졸속국감’ ‘호통국감’ 등 부정적인 내용 일색이다. 심지어 국정감사가 필요 없다는 ‘국정감사 무용론’이 어느 때보다 강하게 대두됐다.
이쯤 되면 국회도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국회의원들은 국감 때마다 피감기관에 대해 문제가 개선되지 않는다며 지적한다. 마찬가지로 국회의원들 역시 국감에서의 구태를 국민과 여론이 질타하지만, 개선되지 않는다. 이제는 국감 폐지라는 극단적 주장까지 나오는 데도 말이다.
하지만 국감 무용론은 신중하게 생각할 문제다. 국감은 입법부가 행정부를 견제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다. 이 도구가 제대로 사용되지 않는다면 제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고치는 것이 맞다. 도구 자체를 없애버리면 또 다른 폐단을 만들 수 있다.
불거진 국감 무용론을 잠재울 수 있는 것은 국회의 몫이다. 국감의 내실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기존에 지적받던 구태를 고치려는 노력이 동반돼야 한다. 매번 논란이 되는 의원들의 전문성 부족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도 찾아야 한다. 상시국감제 도입도 신중히 생각해 볼 때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
-
권건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