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철수는 이동통신부문 관계사인 LG유플러스를 포함해, 이동통신시장 전반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LG유플러스 입장에서는 관계사로서 신뢰가능한 안정된 단말 공급처를 잃게 됐지만, 동시에 계열사 부당지원 논란 등 리스크를 피할 수 있게 된 것은 긍정 효과다. 통신시장 전반에서는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사실상 삼성전자와 애플 1강 1중 구도로 재편되면서, 통신사업자의 협상력이 약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LG전자가 강세를 보이던 중저가 단말기 경쟁 저하와 공시지원금 상향 등 우려가 현실화될 경우 단말기 분리공시제도와 완전 자급제 논의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LG유플러스, 단말시장 '우군' 잃어
LG전자 단말 철수로 인해 LG유플러스는 직접적으로 모바일 분야 기술 인력 등 재배치를 통한 인력 재조정 가능성이 거론된다.
시장 전략 측면에서 LG유플러스가 중요한 단말 공급처를 잃게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LG유플러스에서 LG전자 스마트폰 비중이 SK텔레콤과 KT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LG유플러스는 2014년까지 약 45%의 LG전자 단말 구입 비중을 유지했다. 2021년 현재 LG전자 비중은 축소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6.5(삼성전자):2(애플):1.5(LG전자) 점유율로 구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된다.
LG유플러스는 단말 전략에 있어 LG전자를 든든한 우군으로 활용해 왔다. LG유플러스는 피쳐폰 시절만해도 삼성전자 단말기 공급 우선순위에서 밀려 SK텔레콤에 비해 2~3개월 단말기를 늦게 출시하거나, 스펙도 한 단계 낮춰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럼에도 LG전자 초콜릿폰 등을 스펙다운 없이 안정적으로 공급받으며 경쟁력을 유지했다. LG유플러스는 스마트폰 시대 이후에도 LG전자를 이통시장 경쟁과 단말 공급 협상에서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부인하기 어렵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LG윙, LG벨벳 등 단말기 출시 초반 공시지원금을 10만원 수준으로 경쟁사와 유사한 수준으로 책정했다가 가장 먼저 공시지원금을 2~3배 수준으로 대폭 인상했다. LG전자 스마트폰 철수로 LG유플러스는 어려울 때 기댈 수 있는 우군으로서 LG전자 스마트폰 이점을 더 이상 활용하기 어렵게 됐다.
◇독점 강화된 시장, 이통사 협상력 저하 우려
LG유플러스는 LG전자 단말기 비중이 높은 원인에 대해 '문화적' 이유를 설명한다. LG 계열사 직원이 상대적으로 LG유플러스와 LG전자 스마트폰을 동시에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경쟁사와 일부 국회의원 등은 계열사 부당지원 의혹을 제기했지만,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결과 등 입증된 바는 없다. 분명한 것은 LG유플러스 입장에서는 이같은 '규제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은 위안으로 삼을 수 있는 부분이다.
국내 이통시장에서 유력 단말기 제조사가 삼성전자와 애플만 남게 되면서 경쟁이 저하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하에서 이통사는 자체 지원금과 제조사 지원금을 합산해 이용자에 투명하게 공시한다.
이통사와 소비자단체, 국회에서는 주요 단말 제조사 경쟁이 약화된 상황에서 제조사가 자체 지원금을 투입할 유인이 저하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이는 결국 소비자 스마트폰 가격 상승이라는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특히 LG전자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경쟁에서 밀린 이후 중저가 보급형 단말기 시장 경쟁에 주력해왔다. 삼성전자와 애플이 프리미엄폰 시장에 주력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용자 선택권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스마트폰 시장 경쟁 저하는 새로운 규제 논의를 촉발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양정숙 의원(무소속)은 LG전자 스마트폰이 철수하면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 점유율이 70% 이상으로 높아지고 소비자 부담이 높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자급제폰 활성화 노력을 많이 하고 있고, 앞으로 개선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제조사 공시지원금 상향을 위한 이통사-제조사 지원금 분리공시제 등 도입논의와 더불어, 단말기 완전자급제, 중저가 단말기 쿼터제 등에 대한 국회와 정부의 관심과 논의가 확산될 전망이다.
이통사 관계자는 “LG전자 스마트폰 시장 철수로 이통사의 협상력 저하는 불가피할 것”이라며 “다만, 이통·단말시장에 규제강화 논의로 이어지는 것은 우려스러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
박지성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