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 '공공IT 한류' 바람

클라우드·AI·빅데이터 기술력
데이터센터·정책 수립 등 각광
디지털정부센터 지원분야 넓혀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우리나라 정보기술(IT)이 개발도상국의 공공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한국의 앞선 IT 역량, 다양한 공공시스템 구축 경험 등 내부 요인과 미국·중국 기술 도입을 꺼리는 외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과거 '전자정부' 한류를 '공공 IT' 한류로 재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우리나라가 인도네시아와 추진하는 인도네시아 정부데이터센터 구축사업이 내년에 발주된다. 1800억원 규모로 주센터와 백업센터를 구축하는 게 골자다.

IT컨설팅 전문기업 문엔지니어링이 완료한 설계를 기반으로 세부설계 등 제안요청서(RFP) 작성이 한창이다. 소프트웨어정의데이터센터(SDDC)와 클라우드데이터센터를 지향, 국내 사례를 전수하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사업은 한국수출입은행 차관사업으로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외교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등이 협력한다. 구축 이후에는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운영 비용을 지원한다. AI와 빅데이터를 비롯한 소프트웨어(SW)를 추가 도입하는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다.

개도국 '공공IT 한류' 바람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AI 정책 수립 사업에는 NIA 전문가가 컨설팅을 맡았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국가 정보화전략을 법률로 정하고 있어 AI 정책 역시 대통령령으로 발의, 국회 처리를 앞두고 있다.

세르비아에서는 AI 전략 마련 이후 실행계획 도출에 우리나라 전문가가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5개 분야에서 걸쳐 세부 과제를 마련하고 있다. 세르비아는 월드뱅크 연계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문서관리시스템 기술을 도입한 바 있다.

튀니지가 올해 3월 발표한 정부서비스 구축 가이드라인과 캄보디아 디지털 정부 전략 수립도 우리나라가 지원했다. 튀니지와 캄보디아의 AI 교육을 비롯한 AI 정책 수립에도 NIA가 전문가를 파견한 상태다.

이재호 NIA 글로벌협력본부장은 “개발도상국은 보안 우려나 기술 종속 등 이슈로 미국·중국과 협력을 꺼려 한다”면서 “검증된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나라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만큼 각국에 설치된 디지털정부협력센터 등을 통해 지원 분야를 넓히고 있다”고 말했다.

NIA가 말레이시아와 추진하는 '한-말레이시아 IT 협력 프로젝트'는 개도국의 이같은 인식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다.

말레이시아 통신멀티미디어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2020년부터 올해까지 AI 기반 스마트팜 분야 공동협력과제를 추진했다. 초기에는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했지만 올해부터 서비스와 데이터를 국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이관했다.

개도국 정부와 협력은 IT 한류의 위상을 높이면서 AI와 클라우드 등 국내 기업 해외 진출 기회를 늘리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IT를 기반으로 시스템이 구축되고 데이터 활용이 늘면 우리나라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 등 후방산업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본부장은 “국내 IT기업이 해외 정부 사업에 독자 진출하기는 쉽지 않은 만큼 공적개발원조(ODA) 등 정부 사업과 같이 진출하는 방향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