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영국·인도 총리와 잇따라 정상회담을 갖고 원전·방산·반도체 협력을 확대했다. 독일이 이끄는 기후클럽에도 참여키로 했다. K 라이스 벨트를 통해 아프리카 7개국 쌀생산도 지원한다.
윤 대통령은 20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리시 수낙 영국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다. 윤 대통령은 “한영 간 원전 협력 확대, 디지털 파트너십 체결, 사이버 안보 협력 강화를 위한 수낙 총리의 관심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수낙 총리는 “에너지, 방위산업,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과 각별히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로 삼고자 한다. 최단 시간 내에 한영 협력에 관한 구체적 계획과 합의를 도출하자”고 했다.
윤 대통령 이에 앞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도 정상회담을 가졌다. 양 정상은 K-9 자주포를 포함한 방위산업과 디지털, 바이오헬스, 우주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 또 2010년 발효한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을 고도화하고, 양국의 교역을 더욱 확대하는 동시에 새로운 분야의 협력을 개척키로 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인도에서 활동 중인 우리 기업에 합당한 관세 부과 기준이 적용되도록 모디 총리의 관심을 요청했다.
G7 정상회의에선 “기후클럽에 참여해 글로벌 탈탄소 협력에 한국이 G7과 함께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기후클럽은 2050년 기후중립 달성을 목표로 G7이 결성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주도한다. 윤 대통령은 “각 나라가 약속해온 기후 목표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술을 혁신하고 공유해야 하고, 이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 수소의 생산·유통·활용 주기에 걸친 인도·태평양 지역 역내 수소 협력 플랫폼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윤 대통령은 앞서 식량·보건 등을 주제로 한 또다른 세션에서 “기아와 질병으로부터 자유를 확대하는 데 동참하겠다.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식량 위기 국가들에 매년 5만t의 지원이 이뤄지는 것을 10만t으로 두배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2018년부터 WFP를 통해 연 5만t의 원조용 쌀을 해외에 지원하고 있었다.
윤 대통령은 단기적으로는 ‘아세안+3 비상쌀비축제(APTERR)’의 확대 발전, 장기적으로는 ‘K라이스 벨트(한국형 쌀 생산벨트)’ 구축 사업을 통해 아프리카 7개 빈곤국에 쌀 생산을 지원하겠다고 부연했다. 사하라 사막 이남 및 아프리카 서·동부 해안을 K라이스 벨트로 구축하겠다는 구상으로, 올해 세네갈·카메룬·우간다 등 6개국에 시범 사업을 개시했다. 내년부터는 케냐를 포함 7개국 이상으로 협력 국가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보건 분야에서는 “백신 치료제 개발연구를 지원하는 국제 공공·민간 기구인 감염병혁신연합(CEPI)에 2400만 달러 규모의 공여를 하겠다”고 했다. 매년 300만 달러씩 3년간 공여한 금액보다 3배 가까이 증가한 액수라는 게 대통령실 설명이다. 윤 대통령은 “한국은 바이러스와 세균 자체보다도 국가 간 보건 격차가 더 큰 문제라는 인식하에 관련 기술과 정책 실행 경험을 통해 개도국의 보건 역량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고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전했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