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인사이트포럼 “인간의 뇌 모방한 '뉴로모픽' AI반도체 집중투자 필요”

유회준 KAIST 교수가 강연하고 있다.
유회준 KAIST 교수가 강연하고 있다.

적극적인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확보와 투자로 글로벌 뉴로모픽 반도체 시장에 대응해야 한다는 전문가 조언이 제시됐다.

AI반도체는 대규모 연산 기능을 강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방식을 넘어 앞으로 인간의 뇌를 모방한 '뉴로모픽' 반도체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는 13일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AI 반도체 경쟁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제2차 디지털 인사이트 포럼을 개최했다.

유회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메타버스와 공간컴퓨팅 등 최신 기술에서는 AI로 인식하고 인간과 컴퓨터가 상호작용(인터랙션)으로 협업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인간과 기계가 같이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해 원활하게 움직이는 데 있어 AI 반도체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문제는 현재와 같은 시스템으로는 방대한 에너지가 발생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인간의 뇌는 조그만 에너지를 소모하고도 어마어마한 전력을 이용한 알파고와 경쟁에서 1차례 승리했다”며 “가장 적은 에너지로 효과적으로 움직이려면 뇌를 모방해 인간을 닮은 AI반도체, 즉 뉴로모픽 반도체개발이 큰 흐름”이라고 강조했다.

유 교수는 “인간의 뇌처럼 AI반도체가 자체적으로 학습을 하면 전력소모를 더 줄일 수 있다”며 “현재 대규모 데이터센터에서 데이터 트레이닝을 하고 있지만, 엣지(단말) 단위에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KAIST 연구 성과로 자동차에 탑재된 카메라가 렌즈가 깨진 상황이 되면 스스로 학습해 정확한 주변상황 인식값을 도출하는 상황을 시연했다.

제2차 디지털인사이트포럼 참가자들이 토론했다.
제2차 디지털인사이트포럼 참가자들이 토론했다.

그는 “인간의 뇌가 작은 자극에는 작은 펄스를 이용하고, 큰 자극에 큰 펄스를 이용하듯이 AI 반도체도 작은 학습에는 저전력을 이용하도록 하는 기술로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다”며 “뉴로모픽 AI반도체에 적극적인 투자가 이뤄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현대원 서강대 교수를 좌장으로 'AI 반도체 경쟁력 강화 방안' 토론이 진행됐다.

전윤석 리벨리온 이사는 “AI반도체가 활용될 수 있도록 전후방 생태계 전반을 육성하는 고민이 필요하다”며 “엔비디아 사례에서 보듯 펀딩이나 아니면 세제 혜택을 통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욱 딥엑스 부사장은 “국내 AI 반도체 산업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팹 비용을 포함해 팹리스 기업에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윤두희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 과장은 “산업·연구 현장에 계신 여러분들 노력이 우리나라가 메모리에 이어 AI 반도체도 잘하는 반도체 강국 도약의 밑거름”이라며 “저전력 AI 반도체 경쟁을 선도하기 위해 산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최재유 디지털인사이트포럼 의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최재유 디지털인사이트포럼 의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최재유 디지털인사이트포럼 공동의장은 “국가전략산업인 반도체와 인공지능은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동시에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산업”이라며 “우리나라가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할 수 있도록 민관이 원팀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