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헌법상 금지된 대통령 3선에 도전하겠다는 의사를 공개적으로 드러냈다.
31일(현지 시각) 미국 NBC 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전화 인터뷰에서 '임기를 더 연장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난 일하는 게 좋다. 많은 사람들이 내가 그렇게 하기를 원한다”면서 3선 도전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지만 나는 그들(트럼프 3선을 바라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갈 길이 멀다고 말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아직 초기에 있다”며 “나는 현재에 집중하고 있다. 그것에 대해 생각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했다.
구체적인 답변을 바라는 질문에 그는 “그것(3선)을 가능하게 할 방법이 있다. 농담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NBC 뉴스가 'JD 밴스 부통령이 출마한 후, 트럼프 대통령에게 역할을 넘기는 시나리오'를 구상하는 것이냐고 묻자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도 한 가지 방법 중 하나다. 하지만 다른 것들 것 있다”고 말했다. 다른 방법에 대한 언급은 거절했다.
미국 헌법(수정헌법 제22조)에 따라 미국에서는 한 사람이 2번을 초과해 미국 대통령직에 선출될 수 없다. 명시된 '2번 초과'(more than twice)는 연임 여부와 관계없이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를 인지해 지난해 재선을 확정한 뒤, 2028년 대선에 또 출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취지로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지지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는 “여러분이 '대통령이 너무 잘해서 뭔가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하지 않는 이상 나는 다시 출마하지 않을 것”, “FDR(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전 대통령)은 거의 16년을 했다. 그는 4선이었다” 등의 말을 반복했다고 알려졌다.
이와 관련 공화당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농담이거나 자신을 비판하는 인물을 비꼬는 것이라고 해석해 발표했다.
또 트럼프 측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잇따라 대통령직을 수행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3선 제한 규정에 걸리지 않는다는 주장도 나온다.
수정헌법 제22조를 폐지하거나 변경하려면 하원과 사원 모두에서 3분의 2 찬성과 4분의 3 비준이 필요하다.
비영리 조직인 뉴욕대 로스쿨 브레넌 센터 포 저스티스의 마이클 월드먼 사장은 CNN 방송에 “불법이다. 그(트럼프)는 더 이상 기회가 없다”고 말했지만 트럼프 대통령 측이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