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현재 많은 기업과 조직에서 주목하는 주제다. 이는 비즈니스 환경과 시장 요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기존 업무 프로세스, 고객 경험, 문화를 개선하거나 새롭게 창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혜택은 일반인
ET대학포럼
-
〈122〉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고려사항2023-05-17 16:00
-
〈121〉인간-로봇 공존 시대,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들은?
최근 들어 로봇에 관한 관심이 뜨겁다. 주요국은 로봇을 활용한 산업생산성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로봇활용을 고민하고 있으며, 국내외 유수 기업은 산업영역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공장에서는 이미 로봇이 폭 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우리 일상에서도 로봇은 우리와 대화하
2023-05-10 16:00 -
〈120〉우주항공 전담부처가 필요한 이유
우주항공청(KASA) 출범이 늦어지고 있다. 부처 설치의 실효성 논란 때문이다. 정부의 전담 기관 설치안에 야당이 우주항공청 조직 형태와 운영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아예 백지화하고 우주전략본부를 설치하...
2023-05-03 16:00 -
〈119〉디지털금융과 금융소비자보호
디지털화는 거래 과정에서 디지털기술을 활용해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이며, 금융은 정보보안의 중요성과 거래의 신속성·정확성 등이 어느 분야보다 중요한 영역이어서 디지털화가 가장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23-04-26 16:00 -
〈118〉Disease-X에 대비할 때다
지난 3년 동안 우리를 어렵고 힘들게 한 코로나19는 이제는 안정세에 접어들었다. 앞으로 유행의 기복은 있을 것이지만 큰 문제는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다가오는 겨울철에는 사회에 다소 긴장감을 주는...
2023-04-19 16:00 -
〈117〉산업·제조 경쟁력, 생성형 기술 육성 통해 가능하다
생성형 인공지능(AI) 프로그램 챗GPT가 많은 이에게 충격을 안겼다. 근래 어느 세미나에서든 단연 화제는 이것이었다. AI 관련 정부도 그동안 꽤 많은 육성 방안을 내놓았다.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 디지털...
2023-04-12 16:00 -
〈116〉인문학에서 바라본 메타인지 효용성
17세기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는 송과체(pineal gland)가 영혼이 위치하는 장소라고 표현했고, 인체에서 중요 기능을 하는 점에 대해서는 현대과학에 의해 많은 부분이 증명돼 왔다. 솔방울(pinecone)을 닮았다고...
2023-04-05 16:00 -
〈115〉정당활동, 미니멀리즘이 필요하다
산업화시대와 후기산업화시대를 비교하기 위해 수업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예시가 있다. 바로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장 앞에 서서 입을 옷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사실 옷장에는 옷이 터져 나갈 것처럼 많고,...
2023-03-29 16:00 -
〈114〉성인역량 향상 위한 교육재정 지원 방향
시간은 흘렀지만 성인 역량에 관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비교(2013)에서 우리나라 성인(16~65세)의 언어 능력은 OECD 평균 수준이고, 수리력과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은 OECD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
2023-03-22 16:00 -
〈113〉근감소 예방으로 시니어에게 삶 회복 기회를 제공
건강한 노화란 무엇인가. 100세 시대, 건강한 노화는 모두의 꿈이다. 노화 개념은 시대에 따라 변하고 있다. 지난 2021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노쇠는 고령자의 질병 중심으로 진단하기보다 기능에 관심을 둬...
2023-03-15 16:00 -
〈112〉장애인 사이보그가 노모를 돌볼 수 있는 사회를 꿈꾼다
사상 초유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우리의 일상과 의식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있었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이동 제한으로 발달장애인을 위한 교육기관이나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이 문을 걸어 잠궜고, 이들의 교육과...
2023-03-08 16:00 -
〈111〉정책혁신, 자기 무게부터 줄여야 한다.
“건축물을 무한히 높이 지을 수 없는 원인의 하나는 자기 무게에 짓눌리기 때문이다.” 예전 어디선가 읽었던 구절이다. 건축공학이 많이 발전했지만 이 제약이 사라진 건 아닐 것이다. 오늘날 우리 정책을 옥죄고...
2023-03-01 16:00 -
〈110〉챗GPT 등장, AI 시대 교육계 위기인가?
오픈AI의 챗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는 지난해 11월 말 혜성과 같이 등장한 인공지능(AI) 챗봇으로, 2개월 만에 사용자가 1억명이 됐다. 이달 초에는 유료버전을 출시했다. 챗GPT는 2018년 최초 공...
2023-02-22 16:00 -
〈109〉인문학 혁신, 이제는 시작돼야 한다
인문학을 가르치는 입장에서 위기를 언급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다. 그럼에도 인문학의 불편한 진실 담론을 피해 갈 수는 없다. 4차 산업혁명 가속화로 산업 구조가 개편되고, 그에 따른 고등교육 현장이 급변하...
2023-02-15 16:00 -
〈108〉'펫코노미' 이제 시작이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 가운데 3분의 1 정도가 반려동물 가구이고, 연령에 따라 감도 차이는 있지만 4명 가운데 1명은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긴다는 이른바 펫팸(Petfam)족이다. 반려동물 가구 수로만 보더라도 우리나...
2023-02-08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