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김영준 기자

누구보다 빨리 국내 과학기술 성과를 전합니다.

기자에게 메일 보내기
  • 기사 썸네일
    신태인 KAIST 박사, '디자인콘' 최우수 논문상 선정…김정호 교수 연구실서 성과 창출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이 반도체 설계 분야 세계적인 권위의 국제학회 '디자인콘 2025' 최우수 논문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김정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연구실(테라랩) 소속 신태인 박사가 주인공이다. 신태인 박사는 디자인콘 2022에서도 최우수 논문

    2025-03-03 13:00
  • 기사 썸네일
    [MWC25]ETRI, 6G·위성통신·국방 연구성과 '공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 참가해 차세대 6G, 위성통신, 국방 5G 네트워크 등 최신 연구성과를 공개한다. ETRI는 오는 3~6일 열리는 전시회에 최첨단 네트워크 기술을 세계에 알린다. 글로벌 연구기관·기업과 협력을 확대

    2025-03-03 12:00
  • 기사 썸네일
    ETRI, MWC 2025서 최첨단 네트워크 연구성과 공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원장 방승찬)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서 차세대 6G, 위성통신, 국방 5G 네트워크 등 최신 연구성과를 공개한다. ETRI는 내달 3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MWC 20

    2025-02-28 13:19
  • 기사 썸네일
    과총, '딥시크 쇼크' 상황 아래 국가 AI 경쟁력 강화 논의한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태식)는 28일 오후 2시 30분,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딥시크 쇼크, 국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한다. 챗GPT 등장 이후 주요국에서는 앞다퉈 인공지능(AI) 모델을 발표하고 있으며, 최근

    2025-02-26 19:54
  • 기사 썸네일
    핵융합연, 플라즈마 폐기물 가스화 기술로 수소·전기 생산 성공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해 폐기물에서 수소 및 전기를 생산하는 데 성공해 폐기물 자원화 기술의 새로운 전환점이 마련됐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원장 오영국) 플라즈마기술연구소는 하루 3톤 규모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플라즈마 폐기물 가스화 실험로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2025-02-26 19:51
  • 기사 썸네일
    지질연, 고효율 리튬 추출 기술 개발 …저급 염수에서 리튬 농도 '42배' 증가

    리튬 자원은 광석 또는 염수에서 생산되는데, 자원량이 많고 생산비용이 저렴한 염수 리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염수 리튬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직접 리튬 추출(DLE)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은 자원활용연구본부의 박인

    2025-02-26 19:43
  • 기사 썸네일
    철도연, 세계 최초로 '시멘트 제로 PSC 침목' 철도 운영선 시험 설치

    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한석윤)은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인 '시멘트 제로 콘크리트 철도 침목(Cementless to Sustainable Railway Sleeper)'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광주도시철도 1호선 용산차량기지 입출고선에 약 50m

    2025-02-26 19:33
  • 기사 썸네일
    기계연, '롤투롤 호환 플래시 공정 기술' 개발…이차전지 성능 개선 기반 마련

    우리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이차전지 전극 제조에 '롤투롤 호환 플래시 공정'을 도입, 후막 전극 성능 열화를 획기적으로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배터리 가격은 낮추고 에너지 밀도·용량은 높이면서 크기·무게는 줄일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파일럿 스케일 테스트 베드로

    2025-02-26 09:59
  • 기사 썸네일
    '일월오봉도' 색소 없이 미세구조만으로 고해상도 재탄생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 연구진이 화학 색소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변색·퇴색 없이 영구 보존할 수 있는 초정밀 컬러 그래픽으로 조선시대 '일월오봉도'를 구현했다. 보통 색 표현시 가시광선 내 특정 파장 빛을 흡수하는 화학 색소가 필요한데, 이런

    2025-02-26 09:47
  • 기사 썸네일
    ETRI, 해군사관학교에 '차세대 보안 WiFi' 구축…27일 무선랜 개소식 개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차세대 보안 와이파이(WiFi) 기술이 해군사관학교에 적용된다. 군 관계자가 함께 참여하는 '리빙랩' 방식으로 진행된다. ET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지원으로 '공공 업무·임무용 정보통신자원 노출을 최

    2025-02-26 09:29
  • 기사 썸네일
    KISTI, '미·중 기술 패권과 트럼프 2기: 바이오 기술의 게임체인저 전략' 이슈브리프 발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원장 이식)은 미·중 기술 패권과 트럼프 2기: 바이오 기술의 게임체인저 전략을 주제로 한 KISTI 이슈브리프 제80호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예상되는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심화 속에서 AI 반도

    2025-02-25 18:34
  • 기사 썸네일
    STEPI “혁신창업생태계 지역 불균형 지역 특화 산업 연계한 자원 활용해야”

    지역별 강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차별화된 지역 혁신창업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원장 윤지웅)은 지역 혁신창업생태계 지표 틀을 기준으로 지역별 상대적 강점 및 약점을 살펴보고 지역별 혁신창업생태계 구성 요소 간 맥락적 관계

    2025-02-25 18:30
  • 기사 썸네일
    ETRI, 위성통신 장비 시장 선도 목표 '에이블 맨' 전략발표…민·관 협력 이끌어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25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초공간 네트워크 분야 국가전략프로젝트 '에이블 맨(ABLE-MAN)' 전략을 발표했다. 에이블 맨은 6G와 우주통신 시대를 대비해 이동통신 공간 확장을 위한 위성통신 핵심기술(다이렉트 셀룰러, 위성 엣지 컴

    2025-02-25 12:00
  • 기사 썸네일
    NST, '출연연 AI 통합교육' 실시…AI R&D 역량강화 나선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이사장 김영식)는 이달부터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직할 연구기관 재직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출연연 인공지능(AI) 통합교육'을 운영한다. NST는 출연연 재직자 AI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20

    2025-02-25 11:22
  • 기사 썸네일
    채소·과일 익히는 '에틸렌' 미량도 잡아내…생기원, 농산물 폐기 줄이는 센서 기술 구현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이 저장·유통 단계 채소 및 과일의 숙성 촉진 성분을 정밀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개발 기술로 식품 상태를 면밀하게 파악, 폐기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덩달아 폐기로 발생하는 온실가스도 줄일 수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상목)은 정영

    2025-02-25 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