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과학자

글로벌 코리아로 나아가기 위한 열쇠는 과학기술에 달려있다. 전자신문의 대한민국 과학의 미래를 떠받치는 대표 과학자를 소개한다.

  • 기사 썸네일
    무어의 법칙 대체할 '김의 법칙 주장'... 김정호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반도체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무어의 법칙'이 한계에 부딪히게 됐습니다. 반도체 발전 과정을 예측하고, 새로운 단계로 이끌 수 있는 패러다임이 탄생할 때입니다.” 김정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 및...

    2017-04-02 17:00
  • 기사 썸네일
    손안의 진단기기 '랩온어디스크' 개발 주도... 조윤경 UNIST 생명과학부 교수

    “조류독감이나 신종플루 같은 감염성 질환 두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일반인이 쉽게 구입해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전자동 분자 진단기기를 개발·상용화해 의료 진단 연구계와 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고 싶습...

    2017-03-19 17:00
  • 기사 썸네일
    박정영 IBS 나노물리 및 화학반응 연구단 부연구단장

    “에너지 환경은 지속가능한 과학기술, 환경을 만들기 위한 필수 연구분야입니다. 제가 처음으로 시작한 `촉매전자학` 연구를 통해 에너지 환경분야 발전을 이끌고 싶습니다.” 박정영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물질...

    2017-02-26 17:00
  • 기사 썸네일
    "연비 개선은 종합 예술, AI가 미래 제시"...최회명 융기원 책임연구원

    “자동차 연비 개선은 동력계통의 효율 개선, 구름저항과 공기저항 개선, 버려지는 에너지 재활용 등 여러가지 요소를 최적화하는 종합예술입니다. 전기자동차는 에어컨과 히터 등 공기조화장치 에너지 관리와 배터...

    2017-02-19 12:00
  • 기사 썸네일
    허기택 동신대 실감미디어기반조성사업단장

    “전남지역의 풍부한 문화자원을 콘텐츠로 만들어 새로운 일자리와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허기택 동신대 실감미디어기반조성사업단장은 “실감미디어 장비를 구축해 업체들이 저렴한 비...

    2017-02-05 17:00
  • 기사 썸네일
    박제근 기초과학연구원 강상관계물질연구단 부연구단장

    “기초과학에 대한 국가적 투자가 커질수록 연구자들이 경각심을 갖고 연구에 임해야 합니다. 연구자들이 안주하지 않고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여야 미래에 더 큰 지원이 돌아오게 됩니다.” 박제근 기초과학연구원(...

    2017-01-22 17:00
  • 기사 썸네일
    한형석 한국기계연구원 자기부상연구실장

    “자기부상 열차 기술은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미래 핵심기술입니다. 열차와 같은 운송수단은 물론 반도체 등 첨단 공정 청정 물류 시스템, 놀이문화, 국방 분야 레일 건 등 활용가치가 계속 높아지고 있...

    2017-01-08 17:00
  • 기사 썸네일
    김홍주 한국전기연구원 정밀제어연구센터장

    김홍주 한국전기연구원(KERI) 정밀제어연구센터장은 KERI 전기·전자, 제어 역량을 기계와 융합한 `공작기계용 전장품 국산화`를 이끌고 있는 과학기술인이다. 공작기계는 기계 부품과 제어기를 포함한 전자전기 부...

    2016-12-25 17:00
  • 기사 썸네일
    문용선 영남대 원예생명과학과 교수

    “원예는 식물생리학과 유전학 등 기초학문과 생명공학을 접목해 원예작물과 농산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학문입니다. 의학계와 산업계 등에서 활용 가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문용선 영남대 원예생명과학과 교수...

    2016-12-04 16:00
  • 기사 썸네일
    최무한 경북대 전자공학부 교수

    “메타물질 연구는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광학적, 탄성파적 성질을 갖는 물질을 설계하는 학문이며, 변환광학은 투명망토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기술입니다.” 최무한 경북대 전자공학부 교수는 메타물질과 변환광학...

    2016-11-27 16:00
  • 기사 썸네일
    설승권 KERI 나노융합기술연구센터 선임연구원

    “마이크로, 나노미터급 극미세 3D프린팅 기술을 상용화해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개발과 생산의 핵심인 인쇄전자산업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겠습니다.” 설승권 한국전기연구원(KERI) 나노융합기술연구센터 선임연구...

    2016-10-30 17:00
  • 기사 썸네일
    박윤옥 ETRI 씨앗기술연구실장

    “앞으로 세계 과학기술 성과는 얼마나 많은 `씨앗(seed)기술`을 갖고 있느냐로 결정됩니다. 크고 복잡하지 않더라도, 전에 없던 과학기술의 단초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박윤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6-10-16 17:00
  • 기사 썸네일
    김태오 금오공대 환경공학과 교수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첨가한 새로운 광반응 물질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해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후속 연구를 통해 미래 고부가가치 에너지화를 실현하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입니다....

    2016-10-09 17:00
  • 기사 썸네일
    `반도체 기술 한계 극복할 새로운 길 개척`...이병훈 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반도체 소자 기술이 부딪히고 있는 집적화 한계와 소모 전력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 폰 노이만 방식에 근거한 기술들을 근본적으로 혁신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 소자 및 아키텍처 기술이 필요합니다....

    2016-09-25 17:00
  • 기사 썸네일
    `치매 연구와 치료에 새 길 개척` 임미희 UNIST 자연과학부 교수

    “처음 시작할 때는 주변에서 성공 가능성이 낮다며 만류했는데 지금은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있다며 잘 해보라 격려해줍니다. 포기하지 않는 연구만이 불치병이라 여겨 온 알츠하이머를 정복할 수 있는 길입니다.”...

    2016-09-04 17:00